- 오바마 대통령에게 보내는 서신
- 오바마 대통령 각하,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이하 교회협)는 베트남에서 사용되기 위해 만들어졌던 상당수의 고엽제 ‘잔존물’ 용기들이 베트남전 종전 후 한국에 있는 미군 시설 저장소에 남아있었음을 알게 되었으며 이에 대해 큰 실망과 관심을 표명합니다. 당시 한국에서 복무했던 전직 미군 요원은 1978년에 한 저장소로부터 경상북도에 있는 미군 캐럴 부대 밑에 파묻기 위해 “1967년 베트남 공화국 용”이라고 쓰인 통을 직접 운반했다고 밝혔습니다.
기록에 의하면 고엽제는 1960년대 후반에 한국의 비무장지대에서도 사용되었다고 합니다. 2006년에 한국의 법원은 다우화학(Dow Chemical)과 몬산토(Monsanto)에게 이 치명적인 화학물질을 뿌린 무책임한 행동으로 피해를 입은 약 7천 명의 한국인에게 모두 6천 2백 만 달러를 배상할 것을 명령했습니다.
대통령 각하, 교회협은 한국에서 주한미군이 무책임하고도 불법적으로 독성 화학물질을 내버린 것에 항의하는 사람들의 목소리에 우리의 목소리를 더하고 싶습니다. 그 화학물질은 깨어진 용기에서 스며 나와 흙으로, 그리고 아마도 수원지와 먹이사슬로 유입되었음이 이제 확인되었습니다. 우리는 대통령 각하와 각하께서 이끄시는 미국의 행정부가 이 범죄행위에 책임을 지실 것과, 지체 없이 오염 지역을 정화하실 것, 그리고 왜관과 칠곡이라는 위험지대 인근에 사는 민간인들이 당한 피해에 배상해주실 것을 요청합니다.
우리와 협력관계에 있는 미국그리스도교회협의회(NCCCUSA)는 최근 자신과 다른 미국 대표단들이 베트남을 지속적으로 방문하여 베트남 민간인들에 대한, 특히 이 끔찍한 화학무기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는 암과 특유의 출산 결함으로 인해 아직도 고통 받고 있는 어린이들에 대한 고엽제 사용이 남긴 영구적 영향에 대해 우리에게 알려주었습니다.
우리는 이들과 연대해 일어서고자 합니다. 또한 베트남에서 복무하는 동안 고엽제에 노출되어 고통당하고 있는 미국의 베트남전 참전 용사들과 그들의 가족과도 연대해 일어서고자 합니다. 1991년에 미국 하원은 이들에게 장애 연금을 지급하기로 결의했으며, 2008년에 미국 정부는 그들에게 138억 달러의 배상금을 지불하였습니다. 우리는 베트남인들과 한국에서 피해를 입은 사람들도 동일한 배상을 받을 자격이 있다고 믿습니다.
교회협은 우리가 살아가는 한반도와 이 반도가 속해있는 지역이 서로 좋은 이웃으로 살아가는, 서로 평화와 안전을 누리며 살아가는, 그리고 모든 외국 군대와 장비가 철수하는 그런 날이 오기를 기도하며 그것을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대통령 각하, 우리는 이것이 각하의 개인적 목표이자 당신이 이끄는 미국 행정부의 목표라고 확신합니다. 우리의 이와 같은 호소에 대해 호의적인 응답을 주신다면 그것은 우리 한국인들뿐만 아니라 이 세계의 다른 많은 사람들에게 당신의 말과 의도가 정의를 위해서, 그리고 한·미 양국과 국민들 사이에 우호적인 관계를 위해서 성실한 행동에 의해 뒷받침되고 있다는 증거로 받아들여질 것입니다.
나는 이 서신을 미국그리스도교회협의회는 물론 아시아와 세계 도처에 있는 우리의 에큐메니칼 동역자들에게도 보냅니다. 그들 역시 각하로부터 긍정적인 답을 듣기를 원한다고 우리는 믿습니다.
자국과 해외에서 정의로운 평화를 증진하기 위해 노력하시는 대통령 각하 위에 하나님의 축복이 함께 하시길 기도합니다.
2011년 5월 23일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총무 김영주
참조 : 미국그리스도교회협의회 총무 마이클 키나몬
세계교회협의회 총무 올라프 트베이트
아시아기독교협의회 총무 에리 후타바라트
주한미국대사 캐더린 스티븐스
미8군사령관 존 존슨
<원문>
May 23, 2011
President Barack H. Obama
The White House
1600 Pennsylvania Ave. NW
Washington, DC 20500
USA
Dear Mr. President:
The National Council of Churches in Korea(NCCK) has learned with great dismay and grave concern that a substantial number of containers of ‘leftover’ Agent Orange chemicals intended for Vietnam remained in storage at US Army facilities in Korea after the end of that war. Former US military personnel who were serving in Korea during that time have reported that they personally wheeled barrels marked “1967 for the Republic of Vietnam.” out of a warehouse in 1978 for burial under Camp Carroll in North Gyeongsang Province.
Records show that Agent Orange was also used along the De-Militarized Zone(DMZ) in Korea in the late 1960’s. In 2006, the South Korean Appeals Court ordered Dow Chemical and Monsanto to pay compensation in the amount of $62 million US dollars to the nearly 7,000 South Koreans affected by the irresponsible spraying of this deadly chemical.
Mr. President, the NCCK adds its voice to those protesting this irresponsible and illegal dumping of toxic chemicals by United States Forces Korea(USFK) in our country. It is now confirmed that the chemical has seeped from leaking containers into the soil and possibly into water sources and the food chain. We also call upon you and your Administration to assume responsibility for this criminal act, to begin decontaminating the affected area without delay and to compensate the civilian population that lives near the Waegan and Chilgok “hot spots” for damages they have suffered.
We are informed by our partner, the National Council of Churches of Christ in the USA(NCCCUSA), of their and other US delegations’ findings based on repeated visits to Vietnam in recent years of the lasting impact of the use of Agent Orange in Vietnam among the civilian population, especially the children who suffer still from cancers and endemic birth defects traceable to this terrible chemical weapon.
We stand in solidarity with them, and with U.S. Vietnam-era veterans and their families who suffer too from exposure to the Agent Orange while serving in Vietnam. In 1991, the United States Congress took action to provide disability benefits to them and in 2008, the U.S. government paid them $13.8 billion in compensation. The Vietnamese and our own affected population deserve equal treatment.
The NCCK works and prays for the time when our own Peninsula and the region of which it is a part will live as good neighbors, in peace and security with one another, and all foreign military troops and facilities will be withdrawn. We firmly believe, Mr. President that this is also your personal goal and that of your Administration. Your favorable response to this appeal will stand for Koreans and others around the world as proof that your words and intentions are backed by good-faith actions in the interest of justice and of continued friendly relations between our nations and peoples.
I am sharing copies of this letter with the NCCCUSA and our partner ecumenical councils here in Asia and around the world who we know will want to hear of your positive response.
Wishing you God’s blessing for your efforts to promote peace with justice at home and abroad, I remain
Sincerely yours,
Rev. Kim Young Ju
General Secretary
Cc: Michael Kinnamon, General Secretary, NCCCUSA
Olav Fykse Tveit, General Secretary, World Council of Churches
Ery Hutabarat, General Secretary, Christian Conference of Asia
Catherine Stephens, Ambassador to the Republic of Korea
Commander of Eighth Army, Lt. Gen. John D. Johnson
-
정의·평화
- 본회 김영주 총무 제주교구청 강우일 주교 방문
-
지난 25일(수) 본회 김영주 총무는 제주 강정마을 해군기지 건설 문제와 관련하여 제주교구청 강우일 주교를 방문하였습니다. 김 총무는 지난 4년 동안 제주 해군기지 건설 반대를 위하여 외롭게 싸워 온 가톨릭계에 경의를 표하고, 특별히 강우일 주교가 이 일에 버팀목이 되어주신 것에 대해 감사의 인사를 드렸습니다. 이에 대해 강 주교는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가 관심을 가져주어 든든하고 강정 마을 분들도 많은 힘을 얻을 것 같다고 말하였습니다.
강 주교는 지난 4년 동안 불법과 편법에 의해 행정처리가 진행되고, 권력과 힘으로 해군기지를 건설하려는 정부와 시공사 때문에 강정마을의 주민들이 많이 힘들어했고, 현재는 기력이 쇠한 상태라고 전했습니다. 강 주교는 제주도의 역사적 아픔이었던 4·3 사건 등으로 피해의식이 강하게 남아있는 상태에서 제주 도민들은 국가 안보 관련 사업을 추진하는 것에 대해 반대하고 나서는 것을 두려워하고 있고, 언론에서조차 강정마을의 속 사정을 알리지 않고 일방적으로 정부의 입장을 대변하는 것에 대한 안타까움을 표했습니다. 그러나 올해 들어 사회 각계 인사들이 적극적으로 해군기지 건설 문제에 앞장 서 일하는 것을 보면서 다시 희망을 갖게 된다고 말하였습니다.
김 총무는 시민사회단체들이나 국민들의 관심이 4대강으로 쏠려 있지만 해군기지 건설 문제가 대단히 중요함을 말하면서 육지와 동떨어져 있는 제주는 평화의 섬으로 남겨야 한다고 강조하였습니다. 김 총무는 해군기지 건설의 문제는 군사기지가 하나 들어오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제주의 문화가 평화의 문화에서 군사문화로 뒤바뀔 수 있기에 꼭 평화의 섬으로 지켜내야 한다고 말하였습니다.
강 주교는 정치학적으로 분석해보면 제주에 해군기지가 건설된다는 것은 중국을 견제하는 전략적 도시로 변한다는 말이고, 군사 요새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하면서 한국 그리스도교가 안보와 평화에 대해 근본적으로 재고해야 하고, 큰 틀에서 평화를 위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물어야 한다고 하였습니다.
김 총무는 강 주교에게 개신교의 한계 때문애 가톨릭처럼 일사분란하지 못한 부분이 있지만 교회협 차원에서 서울을 중심으로 이 문제를 알리고 여론을 조성하기 위해 어떤 입장을 취해야 하는지 자문을 구하자 강 주교는 크게 두 가지의 답을 제안했습니다.
첫째, 해군기지 건설을 이야기하기 전에 한국 현대사 속에서 큰 아픔으로 남아있는 4·3 사건에 대해 과거 국가가 저지른 과오에 대한 진실을 은폐하고 폄훼하지 말고 진실규명을 해야한다고 강조하였습니다. 4·3 사건에 대한 정확한 진실규명을 통해 국민에게 제주의 아픔을 알릴 수 있어야 한다고 말하였습니다.
둘째, 강정마을은 제주도에서도 가장 아름다운 곳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해군은 부인하고 있지만 천연기념물이 바다 속에 생존하고 있고, 잘 보전된 지역이고, 유네스코가 지정한 보호구역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0만평을 갈아엎어 군사기지를 만드는 것은 상식적으로도 말이 안되는 일입니다. 이같은 결정은 제주도와 대한민국의 미래에 역행하는 것이라고 강조하였습니다.
이와 같은 제안에 김 총무는 그리스도인으로서 제주 해군기지 건설에 대한 원칙은 “평화”에 있음을 강조하였고, 앞으로 교회협과 가톨릭이 긴밀하게 연대하여 이 문제에 대응해 나가기로 하였습니다.
한편 본회 정의평화위원회에서는 제주 해군기지 건설에 대한 문제를 널리 알리기 위하여 공청회를 개최하고, 다방면의 활동을 통해 제주는 평화의 섬으로 남아야 함을 국민들에게 알릴 예정입니다.
-
정의·평화
- 제주 해군 기지 건설을 반대하는 시민, 사회 단체 의견서 전달해
-
지난 11일(수) 오후 2시 30분 제주 해군 기지 건설을 반대하는 시민·사회 단체의 의견서를 제주 해군 기지 진상조사단 단장인 이미경 의원에게 전달했습니다. 의견서는 교회협 정의평화위원회 위원장 이해학 목사와 평화와 통일을 여는 사람들 김종일 총무가 이미경 의원에게 내용을 설명한 후 전달되었습니다.
총 63개 단체 이 의견서의 내용에 함께 뜻을 모았고, 제주 해군 기지 건설 반대의 입장을 분명히 표명하고 있습니다. 의견서의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제주해군기지 건설을 반대하는 시민·사회단체 의견서>
국회 진상조사단은 불법과 인권유린이 난무하고 있는
제주해군기지 건설을 막는데 앞장서야 합니다.
평화의 섬 제주와 한반도 평화를 염원하는 강정마을 주민과 평화활동가들, 많은 국민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해군과 제주도정이 해군기지 건설을 강행하고 있습니다. 제주해군기지 건설이 정당성을 가지려면 국가안보상 필요, 적정한 입지 선정, 민주적 선정과정, 법과 절차의 준수, 평화의 섬과 양립 가능해야 합니다. 그러나 지금 강행되고 있는 제주해군기지 건설은 그 어느 것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습니다.
해군의 군사정책은 ‘대양해군 정책’과 ‘연안해군 정책’으로 나뉩니다. ‘대양해군 정책’은 "해상교통로 보호"와 "원양작전능력 향상"을 목표로 하고 ‘연안해군 정책’은 "대잠수함 작전"과 연안에서의 "북한 도발 격퇴" 능력 향상을 목표로 합니다.
대양해군 정책의 일환으로 추진되었던 제주해군기지는 지난 4월 29일 현존 위협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국방부의 국방개혁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입법 예고함으로써 사실상 폐기된 것과 다름없습니다. 그 결과, 제주에 해군기지를 건설할 국가안보상 필요가 현저히 감소되었습니다.
제주 해군기지가 건설되면 한국군뿐만 아니라 미군도 이 기지를 이용할 것이라는 점은 군도 인정한 바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제주도는 동북아의 군사적 긴장을 초래하는 위험지역이 될 것입니다.
강정마을은 애당초 해군기지 후보군에 없던 곳입니다. 해군은 2002년 해군기지 최적지로 화순을 선정했으나 주민들의 강한 반대에 부딪혀 2005년 위미로 변경 추진했고 이마저 주민들의 반대로 난항을 겪자 강정을 후보지로 선정하였습니다.
화순, 위미 등에 대한 해군기지 선정에 애를 먹은 해군당국은 강정마을 주민분열을 수년에 걸쳐 자행했습니다. 2007. 4. 26 주민 1,900명 중 불과 80여명만 모인 마을임시총회에서 박수로 해군기지 유치결의가 이루어졌고, 도지사는 기만적인 여론조사로 2007. 5. 14. 해군기지 강정동 유치결정을 발표했습니다. 그러자 강정마을 주민들은 반발했고 2007. 8. 10 마을임시총회에서 436명의 95.4%인 416명의 찬성으로 해군기지 유치결의를 주도한 마을이장을 해임시킨 후 2007. 8. 20 ‘해군기지 유치 주민투표"를 실시하여 725명의 94%인 680명이 유치에 반대했습니다. 그런데도 해군은 강정주민들이 유치를 원했다며 해군기지 건설을 강행하고 있습니다. 그 과정에서 마을 주민들은 극단적으로 대립하고 분열되었습니다. 사촌끼리는 물론 형제끼리도 원수가 됨으로써 강정마을 공동체는 산산조각이 나고 말았습니다.
제주도는 유네스코가 생물권 보전지역으로 지정하고,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했으며, 세계지질공원으로 인증도 해준, 세계 첫 3관왕의 영예를 얻은 땅입니다. 그 중 해군기지가 건설되는 강정 앞바다는 경관이 아름답고 생물다양성이 풍부한 곳이자 천연기념물인 연산호 군락지가 있는 대표적인 문화재보호구역입니다. 강정 해안은 유네스코가 지정한 생물권보전지역에 위치하고 있어 2004. 10. 27 절대보전지역으로 지정된 곳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주도의회와 도지사는 해군기지 건설을 이유로 법과 절차를 무시하고 절대보전지역을 해제하였습니다.
제주도에서 작성한 「민ㆍ군 복합형 관광미항 건설예정지내 절대보전지역 변경(축소) 조사ㆍ검토서(2009. 9. 25)」는 “현장조사 결과, 본 지역(강정해안)에 대한 "절대보전지역" 지정 당시(2004. 10. 27)와 환경여건이 변화되지 않았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제주도정은 강정해안 환경여건의 변화가 없어 절대보전지역 지정을 해제할 수 없음을 스스로 인정했음에도 무단 해제하는 횡포를 자행했습니다. 법원조차 강정 주민이 제기한 행정소송에서 원고자격이 없다며 "절대보전지역 해제" 처분에 면죄부를 주었습니다. 우리는 천혜의 자연환경을 파괴하고 절대보전지역을 해제하면서까지 해군기지를 건설을 강행하는 당국의 태도를 도저히 이해할 수 없습니다.
제주는 국가권력의 횡포로 인해 수많은 도민들이 무고하게 희생된 4ㆍ3의 비극이 서린 곳입니다. 정부는 이 같은 비극을 승화시켜 평화와 인권이라는 인류 보편의 가치를 확산시키기 위해 2005. 1. 27 평화의 섬으로 지정했습니다. 그러나 정부가 해군기지 건설을 일방적으로 강행함으로써 제주도는 또다시 "갈등의 섬"으로 전락했고 강정마을 공동체의 평화는 산산조각이 났습니다. 나아가 해군기지가 들어선 제주는 동북아의 군사적 갈등과 분쟁을 부르는 요인이 될 것입니다.
이처럼 주민들의 인권유린과 제주도민들의 여론을 분열시키면서 강행되는 제주해군기지는 결코 평화를 가져올 수 없으며 정부의 평화의 섬 지정과도 모순됩니다.
늦은 감이 없지 않으나 이제라도 국회 진상조사단이 꾸려진 것을 우리는 환영합니다. 국회 진상조사단은 해군기지건설의 안보적 필요성과 주민 동의와 행정절차의 정당성, 평화의 섬 제주와 해군기지의 관계, 건설과정의 불법과 폭력 등에 대한 근본적이고 전면적인 조사를 통해 제주 땅에서 생명평화의 불씨가 다시 피어날 수 있도록 앞장서야 합니다. 아울러 여당인 한나라당 의원들에게도 부당한 해군기지 건설에 대해 침묵하지 않도록 독려해야 합니다. 우선 불법적인 제주해군기지 건설공사를 중단하고 군당국이 주민과 대화에 나서도록 중재해주시기 바랍니다. 아울러 제주해군기지 문제해결을 위한 국회 차원의 공청회 및 청문회가 열릴 수 있도록 노력해주시기 바랍니다. 국회 진상조사단의 노력으로 제주도가 진정 생명평화의 섬으로 자리매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주시길 간곡하게 호소합니다.
2011년 5월 11일
제주해군기지 건설을 반대하는 시민·사회단체 일동(단체 명단 가나다순 별첨)
강정마을회(회장 : 강동균)
개척자들(대표 : 이형우)
기독교사회선교연대회의(대표 : 정충일)
남북공동선언실천연대(상임대표 : 윤한탁)
남북평화재단(이사장 : 오재식)
노동인권회관(소장 : 박석운)
녹색연합(공동대표 : 김규복, 박경조, 심익섭, 원정, 이동섭)
농민약국(대표 : 김은숙)
동북아평화교육기관(대표 : 이재영)
민가협양심수후원회(명예회장 : 권오헌, 회장 : 한상권)
민족문제연구소(소장 : 임헌영)
민족민주열사희생자추모단체연대회의(상임대표 : 박중기)
민족자주평화통일중앙회의(상임의장 : 김을수)
민족화합운동연합(사)(상임대표 : 주종환)
민주노동자전국회의(의장 : 박정곤)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미군문제연구위원회(위원장 : 장경욱)
민주화실천가족운동협의회(상임의장 : 조순덕)
불교인권위원회(위원장 : 진관)
불교평화연대(공동대표 : 김경운)
비폭력평화물결(대표 : 박성용)
사월혁명회(상임의장 : 정동익)
생명평화결사(운영위원장 : 김경일)
생명평화기독연대(운영위원장 : 이진권)
실천불교전국승가회(상임대표 : 퇴휴)
예수살기(상임대표 : 방영식)
우리민족련방제통일추진회의(공동의장 : 김수남)
전국농민회총연맹(의장 : 이광석)
전국민주화운동유가족협의회(사)(대표 : 강민조)
전국민족민주유가족협의회(회장 : 배은심)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위원장 : 김영훈)
전국빈민연합(의장 : 이필두)
전국여성연대(공동대표 : 손미희)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회장 : 박점옥)
제주해군기지반대강정주민대책위원회(위원장 : 고권일)
제주군사기지저지와평화의섬실현을위한범도민대책위원회(강동수, 고대언, 김장택, 김창후, 박성화, 배기철, 오석훈, 오영덕, 이경선, 이정훈, 임문철, 한경례, 허진영)
조국통일범민족연합남측본부(의장 : 이규재)
참여연대(공동대표 : 이석태, 임종대, 정현백, 청화)
천주교인권위원회(대표 : 김형태)
천주교정의구현전국연합(상임대표 : 변연식)
통일광장(대표 : 권낙기)
통일문제연구소(소장 : 백기완)
평화와통일을여는사람들(상임대표 : 문규현, 배종열, 홍근수)
평화재향군인회(상임대표 : 표명렬)
평화통일시민연대(상임대표 : 이장희)
평화통일연구소(소장 : 강정구)
한국가톨릭농민회(사)(회장 : 임봉재)
한국교회인권센터(이사장 : 이명남)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정의평화위원회(위원장 : 이해학)
한국아나뱁티스트센터(대표 : 김경중)
한국여성단체연합(공동대표 : 권미혁 김경희 김금옥)
한국진보연대(상임대표 : 이강실,이광석,이규재,이필두,이정희,박희진,박자은)
한국청년단체협의회(공동대표 : 박희진, 윤희숙)
한민족생활문화연구회(사)(이사장 : 장두석)
환경운동연합(공동대표 : 김석봉, 이시재, 지영선)
21C대학생연합(의장 : 박자은)
AWC한국위원회(대표 : 허영구)
남북평화연구소
무기제로
전국민주공무원노동조합
전쟁없는세상
주한미군범죄근절운동본부
평화바닥
615공동선언실천청년학생연대
< 총 63개 단체 >
-
정의·평화
- 일본 재해 구호를 위한 국제회의 열려
-
지난 5월 6일(토) ~ 7일(토) 일본 재해 구호를 위한 국제회의가 아카데미 하우스에서 열렸습니다. 이 회의에는 약 20명의 세계 에큐메니칼 단체 실무자들과 국내 교단 실무자들이 함께 하였습니다. 여는 예배를 시작으로 동북아 교회 포럼 참석자들의 일본 재해 현장 방문 보고와 변화된 일본의 상황에 대한 보고가 있었으며, 그룹 토의를 통해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일본 재해 구호 대책에 대해 논의하였습니다.
특별히 회의 참석자들은 함께 논의했던 내용들을 정리하여 성명서를 발표하였습니다. 성명서 전문은 아래와 같습니다.
일본 지진 / 쓰나미 피해 복구를 위한 에큐메니칼 연대 회의
일시 : 2011년5월6일-7일 장소: 서울아카데미하우스
아시아기독교협의회(CCA) 동북아시아 교회포럼의 대표들은 2011년 3월 11일 일본 동북부에 발생한 세 가지양상의 재난(지진, 쓰나미, 원자력발전소 붕괴)으로 어려움에 처해 있는 일본의 구제와 복구, 재건을 위한 조정과 협력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에큐메니칼 연대회의를 개최하였다. 이 회의는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의 주관으로 5월 6일과 7일에 서울 아카데미하우스 호텔에서 개최되었으며, ACT(Action by Church Together) Alliance, Church World Service, United Methodist Committee on Relief와 같은 에큐메니칼 구호 전문기구의 실무자들을 포함하여 약40여명의 기독교 협력단체 대표들이 모였다. 참가자들은 아시아, 유럽, 일본, 한국, 미국, 아시아기독교협의회(CCA)의 교회와 교회 기관들의대표들이며, 현재복구 사업에 참가하고 있는 일본 현지협력 단체의 대표들도 포함하였다.
이번 협의회에서는 일본그리스도교교회(CCJ), 센다이Emmaus Center, 재일대한기독교회(KCCJ), 세계교회봉사회(CWS), 센다이재난복구기독인협의회, 일본기독교단(UCCJ)이 실행하고 있는 다양한 복구활동이 소개되었고, 일본의 최근 상황도 공유되었다. 지속적인 구제와 복구를 위해 제안된 활동으로는 생활필수품의 공급, 고아보호와 트라우마 극복을 위한 상담지원, 잔해 제거반의 조직과 교회건물, 학교 등의 제반시설 재건, 농부들에 대한 지원, 방사능 영향연구, 사회복지 사업과 핵에너지 대체자원에 대한 옹호와 지지활동 등이있었다. 이를위해 일본기독교교회협의회(NCCJ)는 200만불을, 일본기독교단(UCCJ)은 1500만불의 예산을포함하여 약6천 6백만불에 달하는 예산이 제안되었다.
본 회의는 현재 진행중이거나 앞으로 계속될 구제, 복구, 재건활동이 다음과같은 사항에 기반하여 진행되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1. 인도주의적지원은반드시절차를거쳐실행되어야한다.
2. 에큐메니칼기구들은앞으로의대응과대처에있어서로협력해야한다.
3. 일본의교회들은통전적인에큐메니칼대응체계를구축해야한다.
4. 인도주의적지원최선관행(Humanitarian best aid best practices)은일본복구와재건사업에대한가이드라인이되어야한다.
5. 에큐메니칼공동체는재난복구의다음단계에서도일본교회들과NCCJ의노력을지원하는일에계속적으로참여해야한다.
이러한 맥락으로, 에큐메니칼 대응체계나 보고체계가 갖춰지지 않은 현 시점에서는 교회기구들은 재정적 지원을 포함한 일본 복구활동들을 NCCJ와CCA 동북아 교회포럼의 일본지진 코디네이터인 빅터슈와 지속적으로 협의하여 줄 것을 요청하였다.
본협의회는모든교회와에큐메니칼기관들에다음과제안한다.
1. NCCJ의 역량과 인적자원을 보강하고
2. 모든 교회와 에큐메니칼 대응프로그램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연구하고
3. 기술적인 지원을 받기 위해 지역적, 국가적 단위에서 ACT 인터내셔널과긴밀히 협조하고
4. NCCJ는 정보와 활동의 교류를 촉진하고, 협력의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모든 일본내 파트너들을 소집할 수 있는 포럼을 개최하기를 요청한다.
5. NCCJ와 일본 교회들이 외부의 반응에 응답할 수 있는 협의체를 구성할것을 촉구하며, 이 협의체의 구성은 CCA 동북아 교회포럼, 세계교회협의회(WCC), ACT Alliance와 같은 에큐메니칼 교회기구들과의 협력을 통해이루어져야 한다.
6. 정신적 외상의 치유를 위한 상담과 복구프로그램을 지속해야 한다.
7. 적절한 사회복지사업에 대한 지지를 확언해야 한다.
8. 대체 에너지자원 개발과 의존을 위한 옹호운동을 강화하여야한다.
지진과 쓰나미라는 자연재해가 후쿠시마 원전사고와 결합되어 재난이 기하급수적으로 확장된 현 시점에서, 전 세계에서 모인 기독교인들과 에큐메니칼 기구들은 에너지 요구량 상승에 부합하기 위한 핵에너지 개발과 높은 의존도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하였다. 이미 핵에너지의 실질적인 위험성이 일본의 상황을 주시하는 모든 이들에게 명백히 드러났다. 엄격한 기준으로 건설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일본의 원자력 발전소들은 자연의 맹습을, 혹은 인간의 실수와 오만함을 견디지 못하고 붕괴되었다. 체르노빌 사태는 국제 사회가 이러한 문제를 외면하는 것에 경고가 되었었다. 후쿠시마 원전사고와 같은 일은 하나님의 창조세계보전과 인류의 생명보전을 위해 다시는 반복되어서는 안된다. 또한, 우리는 이 시대의 어려운 과제와 대면하기를 거부하는 우리의 무능력으로 인해 발생한짐을 다음세대가 지게 해서는안된다.
우리는 1990년 서울에서 개최되었던 WCC 세계대회를상기한다. 그 회의에서 기독교인들은 하나님께서 사랑하시는 창조세계에 대해 확언하였고, 창조세계를 보전하며 조화롭게 살아가는 문화를 건설하는 일과 모든 생명을 양육하고유지시키는 지구의 공기를 보전하는 일에 헌신 할 것을 다짐하였다.
2011년 5월 6일부터 7일까지 서울아카데미하우스에서개최된 일본 지진과 쓰나미 복구를 위한 에큐메니칼 연대회의의 참석자로서 우리는 정부에 다음과같이 요청한다.
1. 핵발전소 건설을 중단하라.
2. 사회의 소비를 위한 핵에너지 의존성을 줄여 나갈 것을 약속하라.
3. 바람과 태양광 등을 이용한 청정하고, 지속가능한 기술의 개발을 통해 핵에너지 사용을 대체 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라.
더불어, 우리는 우리국가들의 교회 공동체와 모든 선한 의지를 가진 사람들에게 요청한다.
1. 정부가 원자력 에너지를 개발하고 이용하는 것은 더 많은 전력을 사용하고자 하는 우리의 무한한 욕망에서 기인한 것이므로 핵에너지 이용에 대한 우리의 책임을 먼저 인식하자.
2. 전력의 소비와 의존성을 줄여 가기 위한 방안을 함께 모색하자.
3. 하나님은 모든 창조세계를 사랑하심을 확언하고, 창조세계를 보전하며 조화롭게 살아갈 수 있는 문화를 건설하는 일에 헌신하자.
2011년5월7일
일본지진, 쓰나미피해복구를위한에큐메니칼연대회의참가자일동
PARTICIPANTS
Chang, Andrew (Rev.)
General Secretary, NCC-Taiwan; Moderator, Churches" Forum
Christie, Catherine (Rev.)
Ecumenical Mission Coworker from United Church of Canada with NCCK
Choi, Young Woong (Rev.)
PCK Representative
Chung, Ju Jin (Dr.)
Lecturer, Hanshin University; Translator
Crutchfield, Melissa
Assistant General Secretary, International Disaster Relief UMCOR
Eduarte, Asuncion
Director, UMCOR Phillipines
Fujimori, Yoshi (Rev.)
Secretary for International Affairs, Church of Christ in Japan
Grohs, Doris
Programme Officer, East Asia Mission 21
Genung, Claudia (Rev.)
Representative, NCCJ
Heo, Bakki (Rev.)
Minister, Korean Christian Church in Japan
Hong, Song Wan (Rev.)
General Secretary, Korean Christian Church in Japan
Hong, Bong Shik (Major)
Secretary for Public relations of Korea Salvation Army
Hsu, Victor
Coordinator
Ito, Yoko
Church World Service, Japan
Kato, Makoto (Rev.)
Executive Secretary, Ecumenical Ministry, United Church of Christ, Japan
Kim, Dong Sung (Rev.)
WCC Asia Regional Relations
Kim, Il Whan (Rev.)
General Secretary, Korea Christian Service
Kim, Hyeon Ho(Rev.)
Anglican Ecumenical Officer
Kim, Kyung In (Rev.)
CWMEAR Representative
Kim, Young Ju (Rev.)
General Secretary, National Council of Churches in Korea
Lee, Kil Soo (Rev.)
Executive Secretary of Justice and Peace, PROK
Lee, Hun sam (Rev.)
Director, Department of Justice and Peace, NCCK
Lee, Seung Youl(Rev.)
Executive Secretary of Social Service Ministry, PCK
Managbana, Emmeline
Senior Program Advisor, Church World Service/Pakistan-Afghanistan
Mensendiek, Jeffrey
Sendai Emmaus Centre
Nduna, John (Rev. Dr.)
General Secretary ACT Alliance
Ng, Peter (Rev.)
Partnership Officer, Asia, Episcopal Church USA
Noegroho, Darsono Eko (Rev.)
Communion of Churches, Indonesia
Noh, Jong Sun (Rev.)
Professor emeritus Yonsei Univ.; member Reunification Cmt.; Translator
Po, Kam Cheong (Rev.)
General Secretary, Hong Kong Christian Council
Roh, Hye Min (Rev.)
Staff, NCCK
Shastri, Herman (Rev. Dr.)
General Secretary, Malaysia Council of Churches
Shin, Bog Hyun (Rev.)
KMC Ecumenical Officer
Shin, Seung Min (Rev.)
PROK Ecumenical Officer
Sun, Choul Kyu
Acting General Secretary of The Board of Laity & Social Responsibility, KMC
Ueda, Hiroko (Rev.)
General Secretary, NCC JAPAN
Yoshida, Takashi
Sendai Christian Alliance Disaster Relief Network
Yukimoto, Hisashi Correspondent, Ecumenical News International
Zhu, Xiaoling (Rev.)
Area Executive for East Asia and the Pacific, Common Global Ministries Board of Christian Church (Disciples of Christ) and United Church of Christ
-
정의·평화
- [성명] 국민일보 정상화 촉구를 위한 우리의 입장
-
국민일보는 대화합으로 새롭게 출발하십시오!
1988년 여의도순복음교회가 창간하여 현재는 재단법인 국민문화재단에 소속된 민간 공익언론인 국민일보는 ‘사랑·진실·인간’이라는 사시(社是) 아래 민족 복음화와 세계 선교, 기독교인의 대변지임을 표방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창간 25년째를 맞이한 국민일보가 한국교회와 사회의 공적 언론으로서 창간 신앙고백에 충실하게 성숙하고 발전하기를 기도합니다.
우리는 지난 해 12월 23일부터 시작하여 올 6월 12일까지 지속된 국민일보 노조의 파업과 사측의 대응을 바라보면서 우려를 금할 수 없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이번 파업에 대해 국민일보가 보다 성숙하고 책임적인 언론으로 자라나기 위한 성장통으로 이해하고 기도하면서 과정을 주시하고 있었습니다. 마침내 우여곡절을 겪으며 노조는 173일 만에 파업을 풀고 전격적으로 업무에 복귀하였습니다. 우리는 노조의 업무 복귀가 노사 간 긴 대립과 갈등을 넘어서 새롭게 화합하며 출발하는 계기가 될 것이란 기대를 품고 있었습니다. 사실 업무 복귀 후 사측이 곧바로 단행한 대규모 인사이동에 대해서도 쉽게 납득할 수 없는 부분들이 있었지만, 노사의 자율적인 화합을 위해 특별한 입장을 발표하지는 않았습니다. 그러나 최근 사측은 인사위원회를 열어 파업 참가자 중 24명을 대상으로 징계 심의를 하였고, 그 결과 해고 1명, 권고사직(사직을 권고해 해임) 3명, 정직 5명, 감봉 4명이라는 중징계를 통고하였습니다.
국민일보 노조의 파업과 복귀 과정을 지켜보는 우리는 다음과 같은 기본 입장을 견지하고 있었습니다.
1. 노조의 복귀가 노사 대화합의 출발점이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파업 과정에서 발생한 크고 작은 갈등은 대범하게 풀고 나가야 하며, 모욕적 언사나 질서를 깨트린 경우 노조든 경영진이든 유감과 사과 표명을 할 수 있어야 한다.
2. 어떤 이유로도 파업으로 인한 해고는 없어야 한다. 쌍용자동차 노동자들의 경우에서 보듯이 현재 우리사회에서 해고는 살인과 같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든 기업이 해고를 강행한다 해도 기독교 복음을 운영 이념으로 고백하는 기독교 언론사는 결단코 해고만은 지양해야 한다.
3. 노사 화합과 새 출발을 위해 우리는 원론적으로 징계에 반대하지만, 회사 경영상 어쩔 수 없이 꼭 해야 한다면 비기독교 언론사의 징계 범위를 넘어서지 말아야 하며 징계 대상이나 내용도 그야말로 상징적이어야 한다.
우리는 회사 경영진들을 두 번 공식 방문하여 위와 같은 기본적인 입장을 전했으며, 국민문화재단 이사장께도 여러 번 전달한 바가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 인사위원회의 징계 결정에 우리의 간곡한 바람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았다는 점을 우리는 심각하게 숙고하고 있습니다.
“아무에게도 악을 악으로 갚지 말고 모든 사람 앞에서 선한 일을 도모하라. 할 수 있거든 너희로서는 모든 사람과 더불어 화목하라.”(로마서 12:17~18)는 말씀 앞에 서 있는 우리는, 국민일보가 일천만 그리스도인들을 섬기며 우리 사회에 기독교적 가치를 확산하는 소중한 사역을 올바로 감당하기를 간곡히 바라는 마음으로 다음과 같이 요구합니다.
1. 그 동안의 갈등을 마감하고 새 출발한 국민일보는 노사 화합의 큰 틀에서 새로운 미래를 만들기 바랍니다.
2. 해고는 기독교 신앙에 위배되기에 어떤 이유로도 있어서는 안 됩니다.
3. 파업 과정이라 하더라도 인간적 무례나 질서를 무시한 행위에 대해서는 적절한 사과나 입장 표명이 필요합니다.
4. 국민일보 파업과 후유증의 한 중심에는 이번 징계를 단행한 인사위원장 최삼규 경영전략실장과 이번 파업의 한 요인이 되었던 이승한 종교국장이 위치하므로 위 두 책임자가 현재의 직책에서 용퇴하기를 촉구합니다.
5. 국민일보가 공익적 기독교 언론으로서 발전할 수 있는 중·장기 마스터플랜을 마련하기 바랍니다.
우리는 국민일보가 하루빨리 갈등을 접고 화합을 통한 새로운 출발을 단행함으로써 한국교회와 사회에 희망의 빛이 되기를 소원합니다. 이를 위해 우리는 앞으로도 국민일보의 변화 과정을 주의 깊게 살펴 볼 것이며, 우리의 바람이 이루어질 때까지 기도하며 가능한 모든 행동을 다 할 것입니다.
2012년 8월 23일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정의평화위원회위원장 이해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