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NCC

화해·통일2020 Peace Prayer Movement (Light of Peace) Prayer #50
2020 Peace Prayer Movement (Light of Peace) Prayer #50
* Korean (Above) - English (Below) 8월 1주 한반도 평화를 위한 기도 50 데트레브 크노헤 목사, 독일 헤센나사우 주교회 에큐메니칼 총무 주님, 우리의 삶에 베푸시는 당신의 도움과 우리 인생의 아름다운 면과 어두운 면 모두를 인해 주님께 감사드립니다. 주님은 단순한 생존 이상의 삶을 약속 하십니다. 하나님, 한국교회와 전 세계 에큐메니컬 공동체에서, 평화와 정의, 사람들의 존엄한 삶의 환경을 위해 헌신하는 모든 이들에게 힘을 주시길 부탁 드립니다. 특히 한반도에 평화의 빛을 비춰주시기를, 한반도 평화통일에 대한 희망의 표지를 주시기를 기도합니다. 경제적, 정치적 결정을 내리는 모든 사람들로 하여금 전 세계 사람들이 삶의 충만함을 나눌 수 있도록, 새로운 비전과 지혜를 개발하도록 해주십시오. 아멘! Prayer for Peace 50 Rev. Detlev Knoche, Secretary, Ecumenical Center in Hessen und Nassau Lord, we thank you for your support in our lives, for both the beautiful and the dark sides of life. You promise more than just bare survival. We ask you to give strength to all those in the Korean Churches and in our worldwide ecumenical fellowship who are committed to peace, justice and dignified living conditions for people. Especially we pray for a light of peace for the Korean Peninsula and signs of hope for a peaceful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Let all those who make economic and political decisions develop new visions and strategies so that people all over the world may share in the fullness of life. Amen! ---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는 지난 68회 정기총회에서 “평화를 이루기까지 있는 힘을 다할 것”(시 34:14)을 다짐하고, 한국전쟁 발발 70년을 맞는 올해 2020년을 한반도에서 전쟁을 종식하고 평화협정을 실현하는 “희년의 해”로 선포하였습니다.이 희년운동의 일환으로 세계교회협의회 (WCC)와 함께 3월 1일부터 8월 15일까지 “한반도평화를 위한 세계기도운동”을 전개하오니, 이번 주부터 매주 보내드리는 기도문 (혹은 신앙간증문)을 가지고 교회와 가정, 직장과 각 자의 삶의 자리에서 이 기도운동에 적극 참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0-08-04 18:10:55
화해·통일2020 Peace Prayer Movement (Light of Peace) Prayer #49
2020 Peace Prayer Movement (Light of Peace) Prayer #49
* Korean (Above) - English (Below) 7월 4주 한반도 평화를 위한 기도 49 -솔로몬 벤쟈민 목사, 독일 EMS 국장 창조주이시며 생명의 근원이 되시는 하나님, 특별히 우리는 한반도에 사는 주민들의 삶에 평화를 주시기를 간구하며 주님께 나옵니다. 주님, 전쟁으로 인한 분단으로 상처받은 이들에게 사랑과 긍휼을 베풀어 주시옵소서. 정의와 평등, 진리의 하나님, 한반도의 분단 현실속에서도 평화를 성취하기 위해 노력하고 계획하는 일들을 귀히 보아 주십시오. 많은 나라들이 1950한국전쟁 때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한반도의 분단에 책임이 있습니다. 그렇기에 다양한 국가와 민족, 문화를 가진 우리들이 신앙 안에서 하나된 교회들과 선교단체들로서 함께 모였습니다. 우리는 하나님께서 주신 평화의 약속을 굳게 믿으며, 성령이 정치 지도자들과 의사결정권자들로 하여금 강대국에 의해 분단된 민족의 애끓는 외침을 보고 듣게 하셔서 통일된 한반도를 위한 화합의 다리를 놓게 하시기를 간구합니다. 창조주 하나님, 우리는 주님이 평화의 창시자요, 사랑의 본보기이심을 믿습니다. 30년 전 주님께서 기적적으로 독일을 하나되게 하신 것처럼, 당신의 평화가 한반도의 주민들에게도 임하기를 기원합니다. 화해의 하나님, 우리의 모든 대화와 협상이 평화로 전환되도록 도와 주십시오. 마태복음 5장 9절 "평화를 위하여 일하는 사람은 행복하다. 그들은 하나님의 자녀가 될 것이다."라는 말씀대로 우리가 주님을 평화의 하나님으로 온 세상에 알리도록 하시옵소서. 모든 이들의 하나님이시며 평화의 왕이신 하나님, 주님의 뜻이 하늘에서와 같이 땅에서도 이루어지며 이 땅의 주민들에게 평화를 주시기를 간구합니다. Prayer for Peace 49 -Rev. Solomon Benjamin, Liaison Secretary East Asia/India Mission and Partnership Department (EMS), Germany God our infinite being, the giver of life for all. We come to you seeking your favor in bringing peace in the lives of the people especially in the Korean peninsula. Lord pour out your love and compassion on the people who are hurt by the separation through the war. God of justice, equality and truth, we seek you will honour all efforts and initiatives for peace in the context of divided Korea. Many nations have contributed to Korea´s division through war since 1950 and today, we come together as churches and missions from many nations and people of all ethnicity and cultures but united in faith. We seek to affirm your covenant of peace and pray your Spirit will influence leadership of those in power and decision making to see and hear the cry and mourning of the nations separated by powers and help build bridges of harmony for a unified peninsula. Creator God, we believe that you are the initiator of peace and the epitome of love. Just like you miraculously united Germany 30 years ago, may your peace descend on the people in the Korean peninsula. God of reconciliation help us to convert every conversation and negotiation as an opportunity for acclaiming peace. In Matthew 5:9 you say ´Blessed are the peacemakers for they are called the children of God` - we want to represent you as the God of peace. God of people and an incarnation of peace may your will be done on earth as it is in heaven and bring peace to the people of earth.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는 지난 68회 정기총회에서 “평화를 이루기까지 있는 힘을 다할 것”(시 34:14)을 다짐하고, 한국전쟁 발발 70년을 맞는 올해 2020년을 한반도에서 전쟁을 종식하고 평화협정을 실현하는 “희년의 해”로 선포하였습니다.이 희년운동의 일환으로 세계교회협의회 (WCC)와 함께 3월 1일부터 8월 15일까지 “한반도평화를 위한 세계기도운동”을 전개하오니, 이번 주부터 매주 보내드리는 기도문 (혹은 신앙간증문)을 가지고 교회와 가정, 직장과 각 자의 삶의 자리에서 이 기도운동에 적극 참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0-07-28 15:37:12
화해·통일2020 Peace Prayer Movement (Light of Peace) Prayer #48
2020 Peace Prayer Movement (Light of Peace) Prayer #48
* Korean (Above) - English (Below) 7월 4주 한반도 평화를 위한 기도 48 - 한미미, 세계YWCA부회장 평화의 주님! 먼저 저희들을 이 세상에 주님의 자녀이자 화평케 하는 자들(peacemaker)로 불러 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러나 현실은 화평케 하는 자의 본분을 다 하지 못하고 오히려 평화 파괴자로 변질되어가는 저희들의 모습을 보면서 용서를 구합니다! 주님의 평화는 우리의 힘으로, 우리에 능력으로, 우리의 노력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님을 고백하며 다시 새로운 마음으로 시작하게 하소서. 한반도가 한국 전쟁으로 인해 분단과 분열 그리고 분쟁으로 지금까지 고통 받고 있는 세월이 70년이 넘었습니다. 언제까지 눈물과 혐오, 의심과 불안 속에서 끝나지 않는 한국 전쟁을 두려워하며 살아야 합니까? 오직 주님만이 아직도 진행 중인 전쟁의 사슬에서 자유롭게 해 주실 수 있기를 알기에 우리는 지금 기도합니다! 소망합니다! 그리고 믿습니다! 고통 속에 아파하는 한반도를 치유해 주시고 회복시켜 주시고 다시 세워주시옵소서! 눈물이 위로로, 혐오가 사랑으로, 의심이 믿음으로, 불안이 평안으로, 고통이 기쁨으로 전환 되는 새로운 평화의 역사가 이루어 지길 기대하며 기도하며 기다립니다! 그날을 위해 주님의 화평을 만드는 자들로 주님과 함께 일하는 우리 모두가 되게 하소서! 예수그리스도 이름으로 기도 드립니다. 아멘! Prayer for Peace 48 - Mimi Han, Vice Moderator, World YWCA Lord of Peace! Thank you for calling us as your children to be peacemakers for this world. Lord, despite your calling for us to become messengers of your peace, we have often misused the end goal of peace to promote and justify violence in the process. –Please forgive us our sins! We confess to you, Lord, that we cannot make peace by our own will, by our own power, or by our own efforts. It’s been over 70 years since the division of Korea. Our peninsula has suffered from deeply engrained doubt, fear, and anxiety. How long, Lord, are we to live with this pain of the ongoing Korean War? Yet, because of you Lord, we can hope! We pray! And we believe! Only you, Lord, can free us from this chain of continuing cycle of hatred and violence, Only you, Lord, can recover and restore us from this deep scar of unceasing war and division! Lord of Peace! Transform hatred to love, doubt to trust, anxiety to security, and pain to joy in your name! Let us proclaim and commit ourselves to be peacemakers of Korean Peninsula and World! I pray all this in the strong name of Jesus Christ, our Prince of Peace. Amen.---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는 지난 68회 정기총회에서 “평화를 이루기까지 있는 힘을 다할 것”(시 34:14)을 다짐하고, 한국전쟁 발발 70년을 맞는 올해 2020년을 한반도에서 전쟁을 종식하고 평화협정을 실현하는 “희년의 해”로 선포하였습니다.이 희년운동의 일환으로 세계교회협의회 (WCC)와 함께 3월 1일부터 8월 15일까지 “한반도평화를 위한 세계기도운동”을 전개하오니, 이번 주부터 매주 보내드리는 기도문 (혹은 신앙간증문)을 가지고 교회와 가정, 직장과 각 자의 삶의 자리에서 이 기도운동에 적극 참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0-07-28 15:31:36
화해·통일2020 Peace Prayer Movement (Light of Peace) A Declaration for the People’s Korea Peace Agreement
2020 Peace Prayer Movement (Light of Peace) A Declaration for the People’s Korea Peace Agreement
* Korean (Above) - English (Below) 7월 4주 특별선언 '민(民)의 한반도 평화협정 선언문' 1950년 발발한 한국전쟁은 수백만의 생명을 희생시켰고 한반도 산천을 폐허로 만들었다. 1953년의 정전협정은 끝내 평화협정으로 이어지지 못했고, 참혹한 재앙을 불러온 대결로 남북 간 장벽이 공고해졌으며, 이로 인해 남북, 북미 간 갈등과 군사적 대결이 증폭되어 왔다. 생명을 위협하는 소모적 갈등과 군사대결을 끝내기 위한 첫걸음은 한국전쟁 종전과 평화협정체결이다. 이는 시민의 안전을 보장하는 항구적 평화로 가는 길이며 동북아와 세계의 공존과 공영에 대해서도 희망의 빛을 던져줄 것이다. 이에 대한 확신으로 한국의 시민사회는 평화협정 체결을 촉구하는 캠페인을 한국과 미국을 비롯한 이웃 여러 나라들에서 벌여 왔고, 전 세계의 평화를 염원하는 시민들도 지지와 연대를 보내왔다. 이러한 노력은 끝나지 않은 냉전의 벽을 허물고 상생과 평화의 새 규범 위에 생명공동체의 새로운 지평을 열자는 요구이며 응답이다. 이에 우리는 한국전쟁의 종식과‘민의 한반도 평화협정’을 선언한다. 정치 군사적 이권에 연루된 이들이 기득권을 지키기 위해 평화를 향한 민중의 열망을 외면하기에 민이 스스로 바꾸어 내고자 하는 것이다. 전쟁 지속의 다른 이름인 ‘정전’체제의, 지난한 폭력과 수난의 세월을 끝내기 위해 마땅히 누려야 할 평화를 민이 선언하는 것이다. 한반도의 분단으로 이득을 취하려는 이들이 갖가지 구실로 분단의 영속화를 도모하기에, 민이 스스로 분단을 넘어 통일로 나아가려는 것이다. 이는 70년 동안 저마다 몸에 새겨진 상흔과 가슴에 고인 눈물과 대동평화 세상에 대한 갈망이 터뜨리는 함성이다. 전쟁 발발 70주년에 선언하는 민의 평화협정은 정전협정 체결 후 70주년이 되는 2023년 7월 27일 이전에 한국전쟁의 완전한 종식과 한반도와 동북아의 항구적인 평화 구축을 위한 법적 제도적 기반이 될 평화협정으로 거듭나야 한다. 관계국들은 지금 선언하는 ‘민의 평화협정’ 원칙과 내용을 반영하여 조속히 협상을 시작하기 바라며, 그 내용을 다음과 같이 밝힌다. 평화협정의 기본원칙 정전협정 서명 당사자와 교전 당사자인, 대한민국(한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조선), 중화인민공화국(중국), 그리고 미합중국(미국)은 한국전쟁의 완전한 종식과 한반도에서 항구적이고 지속가능한 평화를 구축하기 위하여 한반도 평화협정을 체결 한다. 협정 당사국들은 국제연합 헌장을 준수하고, 한반도 평화와 통일에 관한 기존 합의들을 존중하고, 남과 북의 평화와 통일을 위한 노력을 지지하고, 세계평화에 기여하며, 체결하는 평화협정을 성실하게 이행해야 한다. 한반도 평화협정은 남북, 북미 정상이 채택한 판문점선언과 평양공동선언, 싱가포르 공동성명에 따라, 당사국 간 관계 개선과 신뢰에 바탕을 두고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과 완전한 비핵화를 동시적‧단계적으로 실현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체결되어야 한다. 한반도 평화협정에 다음의 내용을 포함한다. 평화협정의 발효와 함께 한국전쟁을 완전히 종식한다. 한국과 조선은 ‘군사정전에 관한 협정’에 규정된 군사분계선을 경계선으로 하고, 정전협정에 규정되지 않은 경계선은 양 국이 합의하여 정한다. 한국과 조선은 기존 비무장지대를 평화생태지대로 전환한다. 당사국들 / 한국과 조선, 조선과 미국은 어떠한 경우에도 공격 위협을 가하지 않고 무력을 행사하지 않는다. 조선과 미국은 국교를 정상화하고, 비방, 압박, 제재를 중단한다. 당사국들은 각각 평화협정에 저촉되는 적대적 국내법을 개정하거나 폐기한다. 한국과 조선은 전면적인 정치·군사적 신뢰 조성을 위해 기존의 합의를 이행하고 이를 뒷받침할 상설 고위급회담을 운영한다. 한국과 조선은 상호 군비를 축소한다. 이를 위해 군사공동위원회를 운영한다. 조선은 핵무기를 폐기하고 한국과 미국은 핵우산을 폐기한다. 당사국들은 한반도에서 핵무기와 핵위협이 될 일체의 군사적, 기술적 조치를 금지한다. 평화협정의 발효와 함께 유엔사를 해체하고, 외국군은 단계적으로 철수한다. 이 평화협정을 이행하기 위한 한국조선 평화관리 공동위원회와 당사국조정위원회를 각각 구성하고 운영한다. 당사국들은 이 평화협정의 이행을 촉진할 국제평화감시단을 구성하고 운영한다. 한반도 평화체제는 민의 참여에 기반하여 추진되어야 한다. 우리는 이 선언의 실현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다. 2020년 7월 24일 제안단체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화해•통일위원회 (Reconciliation & Reunification Committee, National Council of Churches in Korea) 한국YMCA전국연맹 (National Council of YMCAs in Korea) 한국YWCA연합회 (National YWCA of Korea) 평화네트워크 (Peace Network) 평화와 통일을 여는 사람들 (Solidarity for Peace and Reunification of Korea) 참여연대 (People’s Solidarity for Participatory Democracy)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시민평화포럼 (Civil Society Organizations Network in Korea Civil Peace Forum) 국내 참여 단체 가톨릭평론독자모임(서울) (Study Group on Catholic Review) 팍스크리스티코리아 (Pax Christi Korea) 한국기독청년협의회 Ecumenical Youth Council in Korea(EYCK) 기독여민회 KIDOKYOMINHOE (KACWWM, KIYOMIN) 남북물류포럼 The Korea Logistics Forum 그리스도의 교육 수녀회 Sisters of the Christian Doctrine 평화를만드는여성회 Women Making Peace 전교조 고양중등지회 Korea Teacher's Union goyang 전교조 JeonGyoJo(Korean Teachers and Eduction Worker’s Union) 고양여성민우회 Goyang WomenLink 민주통일평화포럼 DUPF 한국信연구소 Institute of Korean Feminist Integral Studies for Faith 사단법인하나되는길 NKBP 한국여신학자협의회 Korean Association of Women Theologians 순천NCC Soonchun NCC 열린군대를위한시민연대 Civilian Military Watch 콜롬반외방선교회 Columban Mission Society 불평등한 한미소파 개정 국민연대 People Solidarity for Revision of Unequal KOREA-US SOFA 재단법인남북평화재단 SNPEACE 인드라망 생명공동체 Indramang life community 새세상을여는천주교여성공동체 Korean Catholic Women's Community for New World. 오산이주노동자센터 OSAN MIGRENT CENTER 기독교대한감리회 평화통일위원회 Peace and Reunification Committee, The Korean Methodist Church(KMC) 감리교여성지도력개발원 Korean Methodist Women Leadership Institute 한국기독교장로회 총회 평화통일위원회 Peace and Reunification Committee,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Republic of Korea(PROK) 한국기독교장로회 전국여교역자회 Women Ministers' Associaton Of PROK 한국기독교장로회 청년회전국연합회 The National Youth Association of PROK 대한성공회 통일선교위원회 Reunification Committee, Anglican Church of Korea(ACK) 대한성공회 정의평화사제단 Justice and Peace Priests' Association, ACK 평화공공성센터 Center for Peace and Public Integrity (CPPI, Hanshin University, Korea)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 The Korean Council for Justice and Remembrance for the Issues of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통일위원회 MINBYUN-Lawyers for a Democratic Society Committee on Reunification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미군문제연구위원회 MINBYUN-Lawyers for a Democratic Society Research Committee on USFK Affairs 세계 종교/사회 지지 단체 세계교회협의회 국제문제위원회 Commission of the Churches on International Affairs, World Council of Churches (WCC) 세계개혁교회커뮤니온 World Communion of Reformed Churches 아시아태평양 세계기독학생연맹 World Student Christian Federation (WSCF) Asia-Pacific 아시아태평양YMCA연맹 Asia-Pacific Alliance of YMCAs 필리핀교회협의회 The National Council of Churches in the Philippines (NCCP) 대만장로교회 Presbyterian Church in Taiwan (PCT) 일본그리스도교협의회 The National Christian Council in Japan (NCCJ) 일본교단 The United Church of Christ in Japan (UCCJ) 재일대한기독교회 Korean Christian Church in Japan (KCCJ) 호주연합교회 The Uniting Church in Australia 미국그리스도교협의회 National Council of the Churches of Christ in the USA (NCCCUSA) 미국연합감리교회 세계선교부 General Board of Global Ministries - The United Methodist Church (UMC) 미국연합감리교회 교회와 사회부 General Board of Church and Society – The United Methodist Church 미국 제자교회/연합교회의 세계선교회 Global Ministries of the Christian Church (Disciples of Christ) and United Church of Christ 미국친구회 American Friends Service Committee 유엔NGO협의체 Conference of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in Consultative Status with the United Nations (CONGO) 위민크로스디엠지 Women Cross DMZ 캐나다연합교회 United Church of Canada (UCC) 독일개신교연맹 Bishop Petra Bosse-Huber, Rev. Ostarek Claudia/ Protestant Church in Germany (EKD) 헤센나사우주교회의 Protestant Church in Hesse und Nassau (EKHN) 독일복음선교연대 Evangelical Mission in Solidarity (EMS) 독일동아시아선교회 German East Asia Mission (DOAM) 미션21 Mission 21 지지를 심의 중인 단체 요이치 노구치 선생(니와노 평화재단) 스티브 피어스 선생 (영국감리교회) 데이빗 그로쉬 밀러 목사(영국개혁교회) 미엔다 울리알테 목사(미국장로교회) 빅터 슈 선생 (대만장로교회)-지지 승인/ 빅터 슈는 개인 Special Declaration 'A Declaration for the People’s Korea Peace Agreement' The Korean War, which broke out on June 25th, 1950, cost millions of lives and left the Korean Peninsula in ruins. The 1953 Armistice Agreement led not to a peace agreement. Thereafter, the disastrous confrontation settled into a consolidation of the barrier between the two Koreas, which has amplified conflicts and military confrontations between the two Koreas and between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DPRK)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USA). Ending the Korean War and concluding a peace agreement must be the first step toward ending this conflict and the military confrontation which threatens life on the Korean Peninsula. This is the path to a permanent peace that guarantees the safety of the people. This will also shine a ray of hope on those dreaming of co-existence and the co-prosperity of Northeast Asia and the world. Assured of this, Korean civil society has campaigned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other neighboring countries to urge for the conclusion of a peace agreement. People around the world have also sent support and pledged solidarity with this struggle. These efforts constitute a response to the demands for breaking down the walls of the unending Cold War and opening a new horizon for a community of life based on the new standards of co-prosperity and peace. Therefore, we declare an end to the Korean War and proclaim a 'People's Korea Peace Agreement' (hereafter People’s Peace Agreement). As those connected to the political and military power centers turn a blind eye to the people's longing for peace, protecting their own vested interests, the people will seek transformation themselves. This is a declaration that the people deserve an end to the years of excessive violence and hardship, an end to the unending war now in the form of the Armistice System, and that the people deserve to enjoy peace. While those who want to benefit from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attempt to perpetuate the division under various pretexts, the people themselves are trying to move beyond division to reunification. This is the amalgamation of the scars engraved upon our bodies for 70 years, the overflow of tears within our hearts, and it is the cry bursting out of a longing for a world of peace. The People's Peace Agreement, declared on the 70th anniversary of the outbreak of the war, should turn into an (official) peace agreement (hereafter: Peace Agreement) that shall be concluded by the contracting parties before July 27th, 2023, the 70th anniversary of the Armistice Agreement. This Peace Agreement will be a legal and institutional basis for the complete end to the Korean War and the establishment of lasting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throughout Northeast Asia. Now we urge the concerned countries to start negotiations as soon as possible, reflecting the following principles and contents of the People’s Peace Agreement: Basic Principles of the People's Korea Peace Agreement The signatory parties to the Armistice Agreement, the Republic of Korea (ROK),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DPRK),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China),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USA) sign the Peace Agreement on the Korean Peninsula to achieve a complete end to the Korean War and a permanent and sustainable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The contracting parties to the Peace Agreement should abide by the Charter of the United Nations, respect existing (inter-Korean) agreements on peace and reunifi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support efforts for peace and reunification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contribute to world peace, and faithfully implement the contents of the Peace Agreement. The Peace Agreement should be signed in accordance with the Panmunjom Declaration, the Pyongyang Joint Declaration, and the Singapore Joint Statement adopted between the leaders of the two Koreas and between the DPRK and USA, and should include the process of simultaneously implementing a step-by-step realization of a peace regime and complete denucleariz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based on improved relations and trust between the parties. The Peace Agreement on the Korean Peninsula includes the following: The contracting parties shall completely end the Korean War with the effectuation of the Peace Agreement. The military demarcation line stipulated in the ‘Armistice Agreement’ shall be the boundary line between the ROK and the DPRK, and the boundaries not stipulated in the Armistice Agreement shall be determined by agreement between the two Koreas. The ROK and the DPRK shall convert the existing Demilitarized Zone (DMZ) into a peaceful ecological zone. Between the parties to the Peace Agreement, there shall be no threat of attack or use of force under any circumstances; neither between the DPRK and the ROK, nor between the DPRK and the USA. The DPRK and the USA shall normalize diplomatic relations and stop slander, pressure, and sanctions. Each contracting party shall amend or repeal hostile domestic laws which are contrary to the Peace Agreement. The ROK and the DPRK shall implement the existing agreements and form and operate permanent high-level talks to support those agreements in order to create overall political and military trust. The ROK and the DPRK shall mutually reduce their military spending. To that end, they shall form and operate a joint inter-Korean military committee. The DPRK shall dismantle its nuclear weapons, and the ROK and the USA shall remove its nuclear umbrella from the Korean Peninsula. The contracting parties shall ban all military and technical actions that could pose a nuclear threat to the Korean Peninsula. At the time of the effectuation of the Peace Agreement, the UN Command shall be dismantled and foreign troops withdrawn in a step by step process. To implement the Peace Agreement, an Inter-Korean Joint Committee for Peace Management and a Coordination Committee for Contracting Parties shall be organized and operated respectively. The contracting parties shall organize and operate an International Peace Watch Group to facilitate the implementation of the Peace Agreement. A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should be promoted based on the participation of the people. We will use every endeavor to realize this declaration. July 24th, 2020 Proposed by: Reconciliation & Reunification Committee, National Council of Churches in Korea National Council of YMCAs in Korea National YWCA of Korea Peace Network Solidarity for Peace and Reunification of Korea People’s Solidarity for Participatory Democracy Civil Peace Forum Endorsed by: Commission of the Churches on International Affairs, World Council of Churches (WCC) World Communion of Reformed Churches World Student Christian Federation (WSCF) Asia-Pacific Asia-Pacific Alliance of YMCAs The National Council of Churches in the Philippines (NCCP) Presbyterian Church in Taiwan (PCT) The National Christian Council in Japan (NCCJ) The United Church of Christ in Japan (UCCJ) Korean Christian Church in Japan (KCCJ) The Uniting Church in Australia Center for Peace and Public Integrity (CPPI, Hanshin University, Korea National Council of the Churches of Christ in the USA (NCCCUSA) General Board of Global Ministries - The United Methodist Church (UMC) General Board of Church and Society – The United Methodist Church Global Ministries of the Christian Church (Disciples of Christ) and United Church of Christ American Friends Service Committee Conference of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in Consultative Status with the United Nations (CONGO) Women Cross DMZ United Church of Canada (UCC) Bishop Petra Bosse-Huber, Rev. Ostarek Claudia/ Protestant Church in Germany (EKD) Protestant Church in Hesse und Nassau (EKHN) Evangelical Mission in Solidarity (EMS) German East Asia Mission (DOAM) Mission 21 Pax Christi Korea Yoichi Noguchi (Niwano Peace Foundation) Steve Pearce (Methodist Church Britain) David Grosch-Miller (The United Reformed Church) Mienda Uriarte [Presbyterian Church (USA)] Victor Hsu (PCT)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는 지난 68회 정기총회에서 “평화를 이루기까지 있는 힘을 다할 것”(시 34:14)을 다짐하고, 한국전쟁 발발 70년을 맞는 올해 2020년을 한반도에서 전쟁을 종식하고 평화협정을 실현하는 “희년의 해”로 선포하였습니다.이 희년운동의 일환으로 세계교회협의회 (WCC)와 함께 3월 1일부터 8월 15일까지 “한반도평화를 위한 세계기도운동”을 전개하오니, 이번 주부터 매주 보내드리는 기도문 (혹은 신앙간증문)을 가지고 교회와 가정, 직장과 각 자의 삶의 자리에서 이 기도운동에 적극 참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0-07-28 15:27:09
화해·통일2020 Peace Prayer Movement (Light of Peace) Prayer #47
2020 Peace Prayer Movement (Light of Peace) Prayer #47
* Korean (Above) - English (Below) 7월 3주 한반도 평화를 위한 기도 47 - 남부원 총장, 아시아-태평양 YMCA연맹 “나에게는 큰 슬픔이 있습니다. 그리고 마음으로 끊임없이 번민하고 있습니다. 나는 혈육을 같이하는 내 동족을 위해서라면 나 자신이 저주를 받아 그리스도에게서 떨어져 나갈지라도 조금도 한이 없겠습니다.” (로마서 9장 2~3절) 정의와 평화의 하느님, 동족상잔의 비극이 우리 민족을 두동강이로 나눈 지 70년이 되었습니다. 마치 온전히 살아있는 몸을 반토막 내듯이, 분단과 한국전쟁은 민족구성원 모두에게 엄청난 상흔과 고통을 남겼고 그 고통은 지금도 많은 이들의 가슴을 때리고 있습니다. 정의와 평화는 파괴되었고, 불신과 증오와 적대감이 한반도를 뒤덮었습니다. 역사에 개입하시는 하느님, 저희들은 당신의 역사하심을 간절히 기다립니다. 분단과 전쟁으로 지금까지도 고통받고 울고 있는 수많은 당신 자녀들의 눈물을 보시고, 그 탄식의 소리를 들으시고, 이 땅에 화해와 치유의 역사가 새롭게 일어날 수 있도록 주님의 성스러운 개입을 소망합니다. 로마서 9장에서 자신의 번민과 진정한 소망을 고백한 바울의 간절한 심정으로 염원합니다. 저희들을 들어 당신의 화해와 평화의 도구로 써 주십시오. 저희들로 하여금 지난 70년동안 권력자들과 기득권자들이 만들어낸 이데올로기의 대립과 상호 불신, 증오와 적대감을 과감히 떨쳐버리고, 사랑과 화해와 섬김의 거듭난 마음으로 이 분단의 ‘구조악’을 극복하고 민족의 새날을 열어가는 사명 앞에 용기있게 나아가게 하소서. 당신의 그 부름에 굳건한 믿음으로 주저없이 응답하게 하소서. 그리하여 한반도의 진정한 평화와 화해의 물결이 동북아시아와 전세계에 흘러넘치게 하소서. 아멘... Prayer for Peace 47- Boo-Won Nam, General Secretary of Asia and Pacific Alliance of YMCAs(APAY) “I have great sorrow and unceasing anguish in my heart. For I could wish that I myself were accursed and cut off from Christ for the sake of my own people, my kindred according to the flesh.” (Romans 9:2-3) O God of Peace, It has been 70 years since the tragedy of a fratricidal war divided our nation into two shards. As if our whole living body was cut in half, the division and the Korean War left an abundance of scars and pain for all the members of the nation, and for many that pain still throbs in their chest. Justice and peace were destroyed, while distrust, hatred, and hostility engulfed the Korean Peninsula. O God, who intervenes in history, We eagerly await the manifestation of your history. That the tears may be seen of so many of your children who still suffer and weep from division and war, that their sighs of grief may be heard, and that a new history of reconciliation and healing may arise in this land, we hope for God's holy intervention. I pray with the earnest heart of Paul, who confessed his anguish and his genuine hopes in Chapter 9 of his letter to the Romans. Please use us as instruments of your reconciliation and peace. Let us boldly shake off these 70 years of ideological conflicts, mutual distrust, hatred, and hostility created by those in power and the vested interests; and with reborn hearts of love, reconciliation, and service let us overcome the 'structural evil' of this division; and let us bravely advance the mission of opening up new day for the people. May this calling be answered with firm faith and without hesitation. Therefore, let the wave of genuine peace and reconcili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flow out over Northeast Asia and the rest of the world. Amen.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는 지난 68회 정기총회에서 “평화를 이루기까지 있는 힘을 다할 것”(시 34:14)을 다짐하고, 한국전쟁 발발 70년을 맞는 올해 2020년을 한반도에서 전쟁을 종식하고 평화협정을 실현하는 “희년의 해”로 선포하였습니다.이 희년운동의 일환으로 세계교회협의회 (WCC)와 함께 3월 1일부터 8월 15일까지 “한반도평화를 위한 세계기도운동”을 전개하오니, 이번 주부터 매주 보내드리는 기도문 (혹은 신앙간증문)을 가지고 교회와 가정, 직장과 각 자의 삶의 자리에서 이 기도운동에 적극 참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0-07-21 10:14:28
화해·통일2020 Peace Prayer Movement (Light of Peace) Prayer #46
2020 Peace Prayer Movement (Light of Peace) Prayer #46
* Korean (Above) - English (Below) 7월 3주 한반도 평화를 위한 기도 46 - 최애영, Women Cross DMZ 이사장 생명의 하나님! 한반도의 전쟁 종식과 평화와 통일을 염원하는 간절한 마음으로 오늘 기도의 자리에 함께 모였습니다. 조국 한반도에 살던지 아니면 전 세계로 흩어져 이국 땅에서 살던지 우리 모두는 한국인(조선인)이며 친구로서 모두가 조국의 평화를 염원하는 한 백성임을 고백합니다. 세상에 평화를 가져오기 위해서는 우리 자신 안에서 평화가 먼저 이루어져야 함을 깨닫게 하옵소서. 평화를 일구고 생명을 소중히 여기는 복된 삶으로 우리를 인도하여 주시기를 간절히 기도합니다. 총기와 무기가 없고 몸과 마음을 파괴하는 전쟁의 두려움이 없는 세상을 용기있게 선포할 수 있는 믿음을 허락하여 주시옵소서. 세상의 지도자들에게는 갈등을 극복하고 상호 이해와 서로가 공감하는 마음과 서로를 기다려주는 인내심과 서로를 존중하는 지혜를 허락하여 주옵소서. 우리 자신을 속이는 기만과 욕심과 근절하게 하시고 이 지구상에 살고 있는 모든 사람이 세계 공동체로 엮인 한 가족임을 깨닫게 하여 서로가 서로를 인정하며 하나가 되게 하옵소서. 주님이 허락하신 자연의 아름다운 풍성함과 축복을 나누고 보호하게 하옵소서. 우리의 생명을 위협하는 코로나 바이러스의 확산을 막아 주시고 우리의 고통을 치료하여 주시옵소서. 어두운 세상을 사랑과 생명과 평화의 빛으로 비추게 하옵소서. 우리를 갈라놓은 장벽과 장애물을 과감히 허무는 용기와 힘을 허락하여 주옵소서. 생명의 하나님! 우리로 하여금 용기와 확신을 가지고 한반도의 화해, 화합, 지속적인 평화의 길을 비출 수 있도록 함께 하여 주옵소서. 평화를 일구기 위해 앞서 걸어가신 분들의 정신을 이어받아 계속하여 평화의 일군들이 되기를 다짐하는 우리들을 축복하시고 인도 하사 분단된 조국이 하루 속히 하나가 되고, 고요한 아침의 나라로 불리던 한반도에 평화를 허락하여 주시기를 간절히 기도 드립니다.. 생명의 하나님! 우리의 기도를 들어주소서. 아멘! Prayer for Peace 46 - Aiyoung Choi, Chair, Board of Directors, Women Cross DMZ O Spirit of Life- We gather today to pray for the end of war and a bright new era of peace and reconcili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We are millions of Koreans living in our homeland and millions of Koreans around the world whose hearts and souls are, and always will be, Korean. And we are millions more friends and allies in the world who join us in this fervent prayer for peace in Korea. We realize that to have peace in the world, we must begin with the spirit within ourselves. Help us nurture peace and reverence for life. Let us proclaim our vision of a world without guns and fences, without the terrors of war that scorch our bodies and our homes. Give us the wisdom to persuade our leaders to resolve conflicts with mutual understanding, empathy and patience; to lift each other up with kindness and compassion; and to respect and care for one another… because our very humanity depends on it. Help us stamp out the greed, arrogance and deception in our midst. Help us embrace each other as members of one universal family, for which each of us has but one finite, precious time on this earth. Please guide us to protect and share the abundant beauty and blessings of nature; help us stem the coronavirus pandemic that is ravaging us, and heal our deep suffering. Let us light up the universe with messages of love, life, and peace. And give us the strength and resilience to reach across borders and boundaries to work together to right the many wrongs that tear us apart. Spirit of Life, we pray that we may find the courage and clarity to continue lighting the path to reconciliation, unity, and lasting peace in Korea. In honor of the many brave sisters and brothers in this struggle who came before us, bless us as we re-affirm our commitment to fulfill their hopes and dreams, so that Korea can once again become -- the promised land of the morning calm. Spirit of Life, hear our prayers. Amen.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는 지난 68회 정기총회에서 “평화를 이루기까지 있는 힘을 다할 것”(시 34:14)을 다짐하고, 한국전쟁 발발 70년을 맞는 올해 2020년을 한반도에서 전쟁을 종식하고 평화협정을 실현하는 “희년의 해”로 선포하였습니다.이 희년운동의 일환으로 세계교회협의회 (WCC)와 함께 3월 1일부터 8월 15일까지 “한반도평화를 위한 세계기도운동”을 전개하오니, 이번 주부터 매주 보내드리는 기도문 (혹은 신앙간증문)을 가지고 교회와 가정, 직장과 각 자의 삶의 자리에서 이 기도운동에 적극 참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0-07-21 10:10:50
화해·통일2020 Peace Prayer Movement (Light of Peace) Witness #5
2020 Peace Prayer Movement (Light of Peace) Witness #5
* Korean (Above) - English (Below) 7월 2주 증언 5 -박경서 회장, 대한 적십자사 남북 이산 가족 상봉과 대한 적십자사 우리는 지난 4월 27일을 남북 정상의 합의하에 이루어진 판문점 선언 2주년을 맞는 날이었음을 잘 기억하고 있습니다. 이 역사적인 선언은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라는 거대한 계획으로 추진되고 있습니다. 대한적십자사는 말할 것도 없이 이 계획과 같이 움직이고 있습니다. 한반도에 전쟁과 핵이 없는 평화공존시대의 실현은 바로 150여년의 긴 역사를 갖고 있는 적십자 운동의 인도주의 철학과 일치하기 때문입니다. 이 선언의 후속 조치로 남과 북은 제21차 이산가족 상봉 프로그램을 2년 10개월 만에 금강산 해금강 호텔에서 남북 총 833명의 가족의 상봉으로 이루어졌습니다. 이 눈물로 범벅이 된 만남은 이 기간 중 5번의 남북 적십자회담을 성사시켰고 많은 합의를 했습니다. 2018년 8월 22이부터 28일까지 사이의 상봉은 다음을 기약하고 성공리에 마무리 되었습니다. 우리 모두의 바램과 달리 한반도 비핵화의 문제 유엔의 제재 등으로 남북의 모든 문제가 얼어 붓게 되었고 판문점 선언 2주년을 맞아 정부는 다시 재가동의 꿈을 내외에 선포하였습니다. 그래서 이산가족 상봉의 재개가 다시 실현되리라 확신하면서 이상봉의 그간의 발자취를 잠간 살펴보십시다. 남북 이산가족 문제는 분단 이후 현재까지, 한반도의 중요한 인도적인 현안입니다. 이산가족 교류의 특수성은 시간적인 제한성에 있습니다. 평화협력체계가 완전히 갖추어져 자연스레 이산가족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기다릴 수 있는 이산 1세대는 앞으로는 없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현재 북의 가족을 찾고자 신청하신 분들은 2020년 3월말 총 133,382명인데 이중 생존 51,837명에 불과합니다. 이처럼 이산가족1세대는 고령화와 사망률 증가가 특징인데 최근 몇 년간 사망자수를 보면 6년간 매년 평균 약 3,800명의 이산가족이 고인이 되었으며 누적사망자는 81,545명이며 80대 이상 비율이 65.6%에 달합니다. 처음으로 남북 이산가족 생사 확인이 이뤄진 때는 1957년 이었습니다. 대한적십자사는 1956년, ‘실향사민 실태조사’를 벌여 7,034명의 명단을 작성하였으며, 이를 국제적십자위원회를 통하여 이들의 생사확인을 요청하였고, 1957년 11월 북한적십자회는 이 중 337명의 생존자명단을 통보해왔습니다. 1970년대까지 이산가족문제 해결 과정에서의 성과는 남북 적십자 예비회담, 본회담 실무회의 개최(총 56회)를 통하여 5개항(주소·생사확인, 자유로운 방문· 상봉, 서신왕래, 재결합, 기타 인도적 해결 문제 등)의 남북회담 의제에 합의한 것입니다. 1980년대는 이산가족 해결을 위해 3차례 적십자본회담을 개최하는 등, 보다 진전된 모습을 보였습니다. 1985년 남북적십자회담 합의에 따라 남한에서 30가구 51명이, 북한에서 35가구 41명이 교환방문하는 이산가족 고향방문과 예술 공연단 교환방문이 성사되었습니다. 이후 1993년 이후에는 이인모를 북측에 송환시켜주고 이산가족상봉에 관한 북측의 성의를 촉구하기도 하였습니다. 또한 대북포용정책을 추진하고 이산가족문제 해결을 최우선 과제로 삼았습니다. 공식적인 해결책을 마련하기 위한 노력으로 2000년 6.15남북공동선언과 제1차 남북적십자회담합의에 따라 당국차원의 교류가 재개되어 2015년까지 20차례 대면상봉행사와 7차례의 화상상봉이 이뤄졌습니다. 21차까지의 대면상봉 인원은 남과 북을 모두 합쳐 20,604명(4,290가족)이며 화상상봉 인원은 3,748(557가족)명입니다. 적십자사의 이산가족상봉을 위한 노력은 국제적십자운동 차원에서도 꾸준히 이어져왔습니다. 1952년 토론토, 1957년 뉴델리의 제19차 적십자회의, 1965년 비엔나의 제20차 국제적십자회의에서는 이산가족 문제해결에 대해 결의한 바 있으며, 가장 최근에 열린 2019년 제33차 국제적십자회의에서도 국제적십자운동의 가족 찾기 활동(RFL ; Restoring Family Links) 행동강령에 따른 결의문 제4호를 채택하였습니다. 이산가족문제는 최근 주춤하고 있으나 크게 보면 분명 더 큰 해결을 위한 기다림의 시간입니다. 그간의 노력과 성과가 완결되지 못하고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우리는 이산가족 교류가 가지는 문화적․민족적 의미를 새롭게 발굴해 나가면서 이를 지속적으로 계승해 나가야 합니다. 남과 북은 하나의 민족, 평화, 생명공동체입니다. 분단으로 인한 이산의 아픔을 한반도 평화구축의 원동력으로 발전시켜나가는 것이 오늘을 사는 우리 모두의 임무일 것입니다. 지금도 대한 적십자사는 주위의 여건이 허락되면 즉각 실천 할 수 있도록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대면 상봉 화상상봉 고향방문단 등등을 위한 모든 준비는 100% 완료된 상태입니다. 하루속히 상봉이 이루어 질 수 있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Witness 5 -Dr Kyung-seo Park, President of Korea Red Cross The Korean Red Cross Facilitating Inter-Korean Family Reunions 27 April, 2020 marks the 2nd anniversary of the 2018 Panmunjom Declaration for Peace, Prosperity, and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 two sides of Korea agreed to resolve the humanitarian issues and to convene the inter-Korean Red Cross Meeting, including the reunion of separated families and relatives. Following the Panmunjom Declaration, the two Koreas held the inter-Korean Red Cross talks on 22 June 2018 at Mount Kumgang in order to organize the reunion of separated families and relatives. Following this, a reunion of 833 separated family members was held in August 2018 in the North’s scenic Mount Kumgang resort. It was the first such meeting since inter-Korean relations worsened in 2015. Contrary to our wishes, the inter-Korean relations have been stalled due to the issue of denuclearization and the US-led economic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On the occasion of the 2nd anniversary of the historic Panmunjom Summit,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s seeking the most realistic and practical ways for North-South cooperation. In this regard, we hope that the reunion of separated families may be able to resume as soon as possible. The issue of separated families in North and South Korea has been the most prominent humanitarian issue on the Korean Peninsula since the division. But time is running out for the divided families. The average age of South Korean divided family members is 80 years old. More than 65.6 percent of the 133,382 applicants who applied to the Red Cross for family reunions have already passed away. Only 51,837 elderly people are still alive. In 1956, the Korean Red Cross conducted a survey on the separated families and made a list of 7,034 separated people. The Korean Red Cross requested a confirmation of who was still alive, in North Korea, through the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The North Korean Red Cross reported a list of 337 survivors in 1957. Until the 1970s, the key achievement in the process of reuniting separated family members were the fifty-six preliminary meetings of the North-South Red Cross. The six essential activities were exchanges of address, life and death verifications, visits, reunions, exchanges of correspondence, reunification, and other humanitarian cooperation. In the 1980s, a significant progress was made in the reunion of separated families by the three meetings of the North-South Red Cross. In 1985, in accordance with the agreement between the North and South Korean Red Cross, 51 families from South Korea and 41 families from North Korea visited their hometowns, accompanied by art performance groups. After the repatriation of Lee In-Mo to North Korea in 1993, the Korean Red Cross has continued to urge the resumption of the reunion of separated families. In addition, the Korean Red Cross has embraced the policy of engagement with North Korea to promote the reunion of separated families as a top priority. The government-level exchange between the North and the South resumed in 2000, following the 15 June North-South Joint Declaration. In the context of the first inter-Korean Red Cross Conference, twenty face-to-face reunions, and seven virtual video reunions were held up from 2000 to 2015. The total number of people involved in the face-to-face reunions is 20,604 (4,290 families), and 3,748 (557 families) in the video reunion. The efforts of the Korean Red Cross to reunite separated families and relatives have continued on the international level by the International Red Cross by adopting resolutions on separated families in Toronto in 1952, the 19th Red Cross Conference in New Delhi in 1957, the 20th International Red Cross Conference in Vienna in 1965, and the 33rd International Red Cross Conference in Geneva in 2019. The reunions of separated families have been slowing down recently, but it is a time of waiting for a bigger step in the process of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We will continue to work for the reunion of separated families and to discover the cultural and historical meanings of the exchange of separated families. The South and the North are one nation. It is the mission for all of us today to transform the pain of separation into the driving force of peacebuilding on the Korean Peninsula. Even today, the Korean Red Cross is working in every possible way for the separated families to meet their family members as soon as possible. All preparations for face-to-face and virtual reunions are ready. I sincerely hope to resume reunions of separated families again as soon as possible. (Originally written in Korean)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는 지난 68회 정기총회에서 “평화를 이루기까지 있는 힘을 다할 것”(시 34:14)을 다짐하고, 한국전쟁 발발 70년을 맞는 올해 2020년을 한반도에서 전쟁을 종식하고 평화협정을 실현하는 “희년의 해”로 선포하였습니다.이 희년운동의 일환으로 세계교회협의회 (WCC)와 함께 3월 1일부터 8월 15일까지 “한반도평화를 위한 세계기도운동”을 전개하오니, 이번 주부터 매주 보내드리는 기도문 (혹은 신앙간증문)을 가지고 교회와 가정, 직장과 각 자의 삶의 자리에서 이 기도운동에 적극 참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0-07-15 11:06:33
화해·통일2020 Peace Prayer Movement (Light of Peace) Prayer #45
2020 Peace Prayer Movement (Light of Peace) Prayer #45
* Korean (Above) - English (Below) 7월 2주 한반도 평화를 위한 기도 45 -데이비드 그로쉬-밀러 목사, 런던 합동개혁교회 증경총회장 모든 시대의 하나님, 당신은 우리가 이 땅에 처음 발을 디딘 때부터 당신의 백성들과 함께 거니셨습니다. 당신은 우리가 억압당했을 때 우리의 부르짖음을 들으셨고, 의심과 절망에 빠졌을 때 우리에게 힘과 용기를 주셨습니다. 인간의 공포와 탐욕, 권력욕으로 이 땅은 나누어지고 파괴되었습니다. 우리는 오직 당신 안에서 번성하고 자랄 수 있음을 알기에 우리, 당신의 백성들은 당신께로 돌아갑니다. 분열이 불신을 일으키는 곳에 이해의 다리를 놓아 주시옵소서. 탐욕이 인생을 더럽히고 위협하는 곳에서 우리가 마음을 열어 나누고 협력하게 하시옵소서. 현재의 하나님, 당신의 사랑은 경계에서 멈추지 않습니다. 듣고 믿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당신의 은혜는 값없이 주어집니다. 한반도의 사람들은 너무나 오랫동안 나누어져 앞날을 두려워하며 살았습니다. 그들의 외침을 당신께서 듣고 계심을 믿고 용기를 갖게 하시옵소서. 서로 위협하고 멀어지기 위해 핵무기가 사용되는 이곳에, 칼을 보습으로 바꾸시어 북과 남이 함께 살고 번성하게 하시옵소서. 모든 존재의 하나님, 전쟁의 종식과 새 시대의 여명을 위해 전 세계 사람들과 함께 기도합니다. 이 땅을 파괴하는 모든 위협이 영원히 사라지게 해 주시옵소서. 핵 위협에 반대하는 사람들의 목소리가 확신과 힘을 지니고 커지게 하시옵소서. 우리는 분열이 극복되고 적개심이 사라질 때까지 전 세계 동역자들과 함께 일할 것입니다. 우리는 모든 창조 질서가 조화 속에 사는 미래를 향해 우리의 하나님, 당신과 함께 걸어 나갈 것입니다. 모든 시대의 하나님, 현재의 하나님, 모든 존재의 하나님, 홀로 우리는 넘어질 수 있으나 함께 당신의 나라가 임하기를 기도합니다. 아멘. Prayer for Peace 45 - Rev. David Grosch-Miller, Past Moderator of General Assembly of The United Reformed Church, London God of the ages. You have walked with your people from the moment that first we walked on the earth. You heard our cry when we were oppressed, gave us strength and courage when doubt and despair threatened. The earth has been divided and brought to destruction by human fear, greed and the lust for power. We, your people, turn to you knowing that only in you can we flourish and grow. Where division has given rise to distrust, build bridges of understanding. Where greed pollutes and threatens life, open hearts to share and build in partnership. God of the present moment, your love does not stop at borders. Your grace is given freely to those who are willing to hear and to trust. The people of Korea have lived too long divided and fearful for the future. Grant them the courage to believe that their cry has been heard. Where nuclear weapons have been used to threaten and keep apart, turn swords into ploughshares that people North and South may be fed and prosper. God of all that is to be, with people across the world we pray for the end of war and the dawn of a new age. Let all that threatens the earth with destruction be banished for ever. Let the voice of those opposed to nuclear threat grow in confidence and strength. We will work together with partners across the world until division is overcome and hostility ended. We will walk together with you, our God, into a future where the whole created order lives in harmony. God of the ages, God of the present, God of all that is to be, alone we may stumble but together we pray your kingdom come. Amen.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는 지난 68회 정기총회에서 “평화를 이루기까지 있는 힘을 다할 것”(시 34:14)을 다짐하고, 한국전쟁 발발 70년을 맞는 올해 2020년을 한반도에서 전쟁을 종식하고 평화협정을 실현하는 “희년의 해”로 선포하였습니다.이 희년운동의 일환으로 세계교회협의회 (WCC)와 함께 3월 1일부터 8월 15일까지 “한반도평화를 위한 세계기도운동”을 전개하오니, 이번 주부터 매주 보내드리는 기도문 (혹은 신앙간증문)을 가지고 교회와 가정, 직장과 각 자의 삶의 자리에서 이 기도운동에 적극 참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0-07-15 10:42:40
화해·통일2020 Peace Prayer Movement (Light of Peace) Prayer #44
2020 Peace Prayer Movement (Light of Peace) Prayer #44
* Korean (Above) - English (Below) 7월 2주 한반도 평화를 위한 기도 44 -하성웅 목사, 한국기독청년협의회(EYCK)총무 모든 생명을 사랑하시며 보듬으시는 주님, 평화를 꿈꾸는 우리가 간절한 소망을 담아 기도합니다. 이 땅에 여전히 아물지 않은 분단의 상처가 있습니다. 하나였던 민족이 둘로 나눠져 수십 년간 서로를 비난하며, 미워하며 살아왔습니다. 이념은 이 땅에 물리적인 경계를 만들었고, 사람의 마음에 좁힐 수 없는 간극을 만들었습니다. 이 땅의 갈등과 분열을 좀먹으며, 힘과 권력을 잡아온 이들은 여전히 살아남아, 평화를 위한 발걸음을 막아서고 있습니다. 한반도의 긴장은 좀처럼 종식되지 않고, 이 땅의 민중들이 짊어져야 하는 무거운 멍에가 되고 있습니다. 주님, 아물지 않은 분단의 상처들이 치유되기 소망합니다. 서로를 향한 비난과 미움은 거두게 하시며, 그 자리에 평화와 공존의 씨앗을 심게 하시옵소서. 사람이 그어놓은 경계를, 당신의 사랑으로 무너뜨리시옵소서. 한국교회가 한반도의 평화를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지, 기도하며 고민하게 하시고, 성령의 능력에 힘입어, 그 일들을 실천하게 하시옵소서. 모든 생명을 사랑하시며 보듬으시는 주님, 이 땅의 현실에 침묵하지 마시옵소서. 분단으로 슬피 우는 이 땅과 이 땅을 터전삼아 살아가는 민중들을 긍휼이 여겨 주시옵소서. 한반도의 평화를 일구기 위해, 오늘도 수고하며 애쓰는 이들에게 용기를 허락시옵소서.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 아멘. Prayer for Peace 44 - Rev. Seong Ung Ha, General Secretary of Ecumenical Youth Council in Korea(EYCK) O Lord, who loves and cares for all life, We pray with an earnest desire for peace. There is still an open wound from the division in this land. Once we were One, but we have been divided, And for decades we have lived blaming and hating each other. Ideology has created physical boundaries on this land, And it created an irreconcilable gap in the hearts of people. We are eaten up by the conflicts and divisions of this land, As those clinging to authority and power still survive, Thus blocking the path to peace. The tension on this Korean Peninsula rarely abates, And becomes a burdensome yoke the people of this land must bear. May the open wounds of division be healed, O God. Draw down the mutual blame and hatred, Let the seed of peace and co-existence be planted here. As for the boundaries drawn by men, Tear them down with your love. As for the Korean Church, Whatever can be done for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Pray and consider this, And by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put it into practice. O God, who loves and cares for all life, Be not silent on the realities of this land. To the land crying out mournfully under division and to the people making a foundation on this land, Please grant your mercy. To those striving with all their might to reclaim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Please grant your courage. This we pray in the name of Jesus Christ. Amen.---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는 지난 68회 정기총회에서 “평화를 이루기까지 있는 힘을 다할 것”(시 34:14)을 다짐하고, 한국전쟁 발발 70년을 맞는 올해 2020년을 한반도에서 전쟁을 종식하고 평화협정을 실현하는 “희년의 해”로 선포하였습니다.이 희년운동의 일환으로 세계교회협의회 (WCC)와 함께 3월 1일부터 8월 15일까지 “한반도평화를 위한 세계기도운동”을 전개하오니, 이번 주부터 매주 보내드리는 기도문 (혹은 신앙간증문)을 가지고 교회와 가정, 직장과 각 자의 삶의 자리에서 이 기도운동에 적극 참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0-07-15 10:30:50
화해·통일2020 Peace Prayer Movement (Light of Peace)  Prayer #43
2020 Peace Prayer Movement (Light of Peace) Prayer #43
* Korean (Above) - English (Below) 7월 1주 한반도 평화를 위한 기도 43 - 빅터 슈 박사, 대만장로교회 컨설턴트 창조주 하나님, 당신의 자녀들에게 창조 세계를 맡기시고 기뻐하며 돌보게 하심에 감사합니다. 특별히, 한반도에 아름다운 자연과 사람이 있게 하심에 감사합니다. 사랑의 하나님, 당신의 백성들이 전 세계에 퍼져 서로 다른 신앙과 정체성을 가지고 살도록 창조하심에 깊이 감사합니다. 당신께서 우리의 선조들에게 약속하셨듯이, 당신은 결핍과 갈등의 어려운 상황에서도 결코 우리를 저버리지 않으실 것을 압니다. 당신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당신의 모든 백성들이 생명을 가지고 풍성한 삶을 누리게 하겠다고 약속하셨습니다. 이에 우리는 당신께 간구합니다. 1953년 이후 헤어져 살아가는 한반도 사람들에게 자비를 베풀어 주시옵소서. 그들이 갈망하는 대로 전쟁의 공포나 이산의 고통 없이 당신의 백성으로서 풍성한 삶을 누리며 살게 하시옵소서. 한반도 사람들이 2000년 이후 남북정상회담을 통해 보여준 평화와 통일을 향한 뜨거운 염원을 들어주시옵소서. 2018년 4월 27일 판문점 선언에서 구상된 대로 정전체제가 종식되고 평화의 비전이 되살아나게 하시옵소서. 전 세계 지도자들, 특히 한반도의 지도자들이 분단된 땅을 이끌어 하나의 민족과 하나의 나라로서 생명의 완성을 이루게 하시옵소서.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는 많은 교회협 지도자들과 함께 이 땅과 민족의 통일을 위한 첫걸음으로 북과 남의 평화조약 체결을 강력히 요청하고 있습니다. 교회와 에큐메니칼 기관, 그리스도인들이 이들의 호소에 응답하도록 지혜를 주시옵소서. 에큐메니칼 기관과 교회들이 “공의를 실천하고 인자를 사랑하며 겸손히 그들의 하나님과 함께 행하게” 하시옵소서. Prayer for Peace 43- Dr. Victor Hsu, Consultant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Taiwan (PCT) Creator God, We give thanks to you for the creation that you endowed your children to enjoy and to nurture. We thank you especially for the Korean Peninsula for its enchanting beauty and people. God of Love, With deep gratitude, you have created us to be your people scattered across the globe with different living faiths and ideologies. Just as you promised our foreparents, you will not forsake any of us despite challenging circumstances of want and conflict. You promise through Jesus Christ that all your people will have life and life abundant. We therefore beseech you to: Have mercy on the Korean people who remain divided since 1953 and yearn for the promise of life abundant as a people without fear of war or further suffering as divided families; Grant to the people of Korea in their ardent aspiration for peace and reunification, as demonstrated in the summits between the leaders of South and North since 2000; Revitalize the vision of peace by ending the Armistice as envisioned in the Panmunjom Declaration of April 27, 2018; Grant us with leaders around the world, especially those in Korea, who have vision and courage to steer the divided Peninsula towards the fulfilment of life as one people and one nation; Give wisdom to the churches, ecumenical organization and Christians to respond to the appeals of the National Council of Churches of Korean and its many leaders to advocate strongly for a peace treaty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as a first step towards a reunified land and people; and Call on the ecumenical organizations and churches to “do justice, love mercy and walk humbly with their God.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는 지난 68회 정기총회에서 “평화를 이루기까지 있는 힘을 다할 것”(시 34:14)을 다짐하고, 한국전쟁 발발 70년을 맞는 올해 2020년을 한반도에서 전쟁을 종식하고 평화협정을 실현하는 “희년의 해”로 선포하였습니다.이 희년운동의 일환으로 세계교회협의회 (WCC)와 함께 3월 1일부터 8월 15일까지 “한반도평화를 위한 세계기도운동”을 전개하오니, 이번 주부터 매주 보내드리는 기도문 (혹은 신앙간증문)을 가지고 교회와 가정, 직장과 각 자의 삶의 자리에서 이 기도운동에 적극 참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0-07-07 17:03:47
화해·통일2020 Peace Prayer Movement (Light of Peace)  Prayer #42
2020 Peace Prayer Movement (Light of Peace) Prayer #42
* Korean (Above) - English (Below) 7월 1주 한반도 평화를 위한 기도 42 - 한스 훼쉘만 목사 (미션아이네벨트 대표, 바이에른주 루터교회 목사) 하나님, 당신은 관용과 이해를 위한 행동가이십니다. 우리가 다양한 관습과 모습들에 열려 있게 하소서. 당신을 우리의 가정과 마음 속에 초대하게 하소서. 하나님, 당신은 진실과 사랑을 위한 행동가이십니다. 우리가 저 먼 대륙과 여러 갈등에 열려 있게 하소서. 우리의 모임들과 대화에 참여하소서. 하나님, 당신은 자유와 자기 결정을 위한 행동가이십니다. 우리가 낯선 의식과 종교들에 열려 있게 하소서. 우리의 두려움과 공격성에 저항하게 하소서. 하나님, 당신은 연민과 치유를 위한 행동가이십니다. 우리가 모든 피조물들과 모든 삶의 방식에 열려 있게 하소서. 우리의 무한한 탐욕에 반대하소서. 하나님, 당신은 평화와 화해를 위한 행동가이십니다. 당신과 우리를 생명을 위한 저항에 준비되게 하소서. 우리가 우리 스스로 세운 경계와 벽들을 극복하도록 도우소서. 하나님, 당신은 변화와 소망을 위한 행동가이십니다. 우리와 한국의 자매, 형제들에게 소망을 주셔서 통일을 이루어 평화롭게 살아 갈 수 있게 하소서. 예, 주님, 우리가 당신의 사랑과 당신의 평화의 행동가들이 되게 하소서. 아멘. Prayer for Peace 42 - Rev. D. Min. Hanns Hoerschelmann, Director of Mission OneWorld, Center for Partnership, Development and Mission of the Evangelical Lutheran Church in Bavaria God, you are an activist for tolerance and understanding. Open us up for different customs and faces. Invite yourself into our houses and hearts. God, you are an activist, for trust and love. Open us up for faraway continents and conflicts. Get involved into our meetings and conversations. God, you are an activist, for freedom and self-determination. Open us up for foreign rites and religions. Rebel against our fears and aggressions. God, you are an activist, for compassion and healing. Open us up for all creatures and all ways of life. Lean yourself against our greed illimitability. God, you are an activist, for peace and reconciliation. Make yourself and us ready for resistance for life. Help us to overcome borders and walls that we have put up. God, you are an activist, for change and hope. Gives us and our sisters and brothers in Korea hope That we will be united and can live in peace. Yes God, let us be activists of your love and your peace. Amen ---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는 지난 68회 정기총회에서 “평화를 이루기까지 있는 힘을 다할 것”(시 34:14)을 다짐하고, 한국전쟁 발발 70년을 맞는 올해 2020년을 한반도에서 전쟁을 종식하고 평화협정을 실현하는 “희년의 해”로 선포하였습니다.이 희년운동의 일환으로 세계교회협의회 (WCC)와 함께 3월 1일부터 8월 15일까지 “한반도평화를 위한 세계기도운동”을 전개하오니, 이번 주부터 매주 보내드리는 기도문 (혹은 신앙간증문)을 가지고 교회와 가정, 직장과 각 자의 삶의 자리에서 이 기도운동에 적극 참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0-07-07 16:55:38
화해·통일2020 Peace Prayer Movement (Light of Peace)  Prayer #41
2020 Peace Prayer Movement (Light of Peace) Prayer #41
* Korean (Above) - English (Below) 7월 1주 한반도 평화를 위한 기도 41 배현주(WCC 중앙위원) “핵 없는 세상을 염원하는 기도문” 자유와 해방의 하나님! 우리는 삼일운동 제93주년을 맞이하면서 출애굽의 하나님을 굳게 믿고 생명의 미래를 향해 분연히 떨쳐 일어났던 믿음의 조상들을 기억합니다 그들은 엄숙한 신앙의 양심과 자자손손 풍성한 삶의 즐거움을 실컷 누리게 되는 소망을 지니고 우리 민족의 생존과 자유와 독립의 권리를 선언하며 동북아시아와 세계의 참된 평화를 염원하였습니다 그러나 새 천년 21세기 벽두에 서 있는 우리는 아름다운 삼천리 금수강산 한반도가 어느새 핵무기와 핵발전의 먹구름으로 뒤덮히게 된 것을 두렵고 놀란 마음으로 목도합니다 20세기 아픔의 역사로 인한 라헬의 통곡이 아직도 그치지 않고 억울한 죽음과 고난의 상흔이 아직도 아물지 않은 이 땅에 또 다시 자멸과 사망의 어두운 그림자가 드리워졌음을 직시합니다 약육강식의 정글 같은 세계사의 무대에서 북한은 핵무기, 남한은 핵발전을 선택하였습니다 한반도와 동북아시아는 세계에서 가장 위험한 핵지뢰밭이 되었습니다 오 하나님, 우리의 탄식과 회개와 간구를 들어주시옵소서! 지난 20세기 세계대전을 두 번이나 겪고서도 여전히 전쟁과 군비증강의 악순환을 거듭하는 인류의 어리석음을 우리는 탄식합니다 수많은 어린이들이 배고픔으로 죽어가는 지구촌의 현실 속에서도 천문학적인 돈과 자원을 군비 경쟁에 쏟아 붓는 인류의 탐욕과 이기심을 우리는 회개합니다 우리의 참된 안보는 강대국과 핵보유국들의 핵무기에 있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에 대한 신뢰와 이웃에 대한 상호 존중에 있음을 깨닫게 하여 주시옵소서 동서고금의 수많은 제국들의 흥망성쇠를 지켜보시는 하나님! 지구촌의 모든 정부와 기업이 제국의 야심을 불태우며 무한한 경제 성장의 우상을 숭배하는 길에서 돌아서서 모든 공동체의 상생, 그리고 인간과 자연의 공생이라는 우주적 진리의 길을 택할 수 있도록 지혜를 허락하여 주시옵소서 핵발전을 추구하는 에너지 탐욕과 소비주의와 교만을 회개하오니 가난하고 겸허한 마음과 절제의 삶을 허락하여 주시옵소서 우리의 참된 부는 물질의 무한한 축적에 있는 것이 아니라 창조적 삶과 나눔에 있음을 깨닫게 하여 주시옵소서 핵이란 무기이든 발전이든 평화와 양립할 수 없다는 사실을 배웁니다 우리가 핵에 대한 집착에서 자유로와지도록 인도하여 주시옵소서 우리의 참된 힘은 핵이 아니라 사랑과 정의임을 깨닫게 하여 주시옵소서 오 하나님, 우리의 간구를 들어주시옵소서! 우리가 멸망으로 인도하는 넓은 문으로 들어가지 않고 생명으로 인도하는 좁은 문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용기를 허락하여 주시옵소서 하나님이 창조하신 태양과 바람과 물을 이용한 자연 에너지로 살아감으로써 자녀들에게 괴롭고 무서운 유산을 물려주지 않게 하여 주시옵소서 한국 그리스도인들부터 정의와 사랑의 하나님이 주신 명령과 양립할 수 없는 핵발전소를 수출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생명과 평화를 전파하는 평화의 사도로 살아갈 수 있도록 인도하여 주시옵소서 한라에서 백두까지, 그리고 동북아시아와 전지구촌에 생명과 평화의 새 하늘과 새 땅이 도래하기를, 제국의 희생자 되어 십자가에서 피폭자들의 고통과 죽음을 나누신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간절히 기도합니다. 아멘 Prayer for Peace 41 Rev. Dr. Hyunju Ba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Central Committee member of the WCC A Prayer for A Nuclear-Free World* God of freedom and liberation! Facing the 93rd anniversary of the 1919 Independence Movement, we remember our ancestors, who believed in the God of the Exodus and courageously rose up toward a future of life. With the sincere faith of conscience, and the hope of a joyful life for future generations, they declared this nation's right to life, freedom and independence, and they prayed for true peace in Northeast Asia and the world. But now at the start of the 21st century we witness, with worried and fearful hearts, that this beautiful peninsula is covered by the dark cloud of nuclear weapons and power plants. In this land where Rachel's lamenting over historical pains has not ceased, and where the scars of suffering and wrongful death have not healed, once again we see the shadow of death hanging over us. On the current world historical stage, North Korea has chosen nuclear weapons and South Korea has clung to nuclear energy.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Asia have become the world's most dangerous nuclear minefield, surrounded by nuclear weapons and nuclear power plants. O God, hear our prayers of lament and repentance! We lament the foolishness of humanity, which despite the experience of two world wars in the 20th century, is still caught in the vicious cycle of increasing wars and weaponry. We repent that human greed and selfishness has led us to pour astronomical amounts of money and resources into the arms race, even as countless children are starving to death in our global village. Awaken us to realize that our true security lies not in nuclear weapons but in trusting you and respecting our neighbors. O God, who watches the empires rise and fall! Grant wisdom to our governments and corporations, that they may turn away from their worship of the idol of unlimited economic growth, which makes the strong prey on the weak. May they instead choose the way of cosmic truth: the life of conviviality with all living beings, humans and nature. As we confess and repent of our sins of greed and consumerism in pursuit of nuclear power, grant us humble hearts and simple lives. Awaken us to know that true wealth is found not in the accumulation of material goods but in a creative, sharing life. May we learn that nuclear weapons and nuclear energy are not compatible with peace. Lead us to be free from nuclear preoccupation. Awaken us to know that our true strength is not in nuclear power but in love and justice. O God, hear our prayers! Grant us the courage to go through the narrow gate that leads to life, not the wide gate that leads to destruction (Mt 7:13-14). May we leave to our children not a painful and terrible heritage, but a life that uses natural energy from your created sun, wind and water. O God, lead us Korean Christians not to export nuclear power plants, an act that is contrary to your command of justice and love, but to live as your apostles of peace, teaching your life and peace. Remembering that on the cross our Lord shared the suffering of the nuclear radiation victims, and hoping that a new heaven and new earth of life and peace may be realized from Mount Halla in the south to Mount Paekdu in the north, throughout Northeast Asia and all the earth, we pray in the name of Christ Jesus. Amen. (* This prayer was written for the inaugural worship of the Korean Christian Network for a Nuclear-Free World, also known as the Korean Network for a World Free of Nuclear Power and Weapons, on March 1, 2012, to commemorate the 93rd anniversary of the 1919 Independence Movement against Japanese occupation and the first anniversary of Fukushima nuclear reactor disaster at once. The original Korean version was translated into English by Ms Maryon Kim, and modified by the author.)---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는 지난 68회 정기총회에서 “평화를 이루기까지 있는 힘을 다할 것”(시 34:14)을 다짐하고, 한국전쟁 발발 70년을 맞는 올해 2020년을 한반도에서 전쟁을 종식하고 평화협정을 실현하는 “희년의 해”로 선포하였습니다.이 희년운동의 일환으로 세계교회협의회 (WCC)와 함께 3월 1일부터 8월 15일까지 “한반도평화를 위한 세계기도운동”을 전개하오니, 이번 주부터 매주 보내드리는 기도문 (혹은 신앙간증문)을 가지고 교회와 가정, 직장과 각 자의 삶의 자리에서 이 기도운동에 적극 참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0-07-07 16:52:11
화해·통일2020 Peace Prayer Movement (Light of Peace) Prayer #40
2020 Peace Prayer Movement (Light of Peace) Prayer #40
* Korean (Above) - English (Below) 6월 5주 한반도 평화를 위한 기도 40 - 박예빈 어린이, 대림초등학교 “어린이들도 평화 통일이 기대돼요” 하나님, 글쎄 남과 북이 갈린 지도 벌써 70년이 다 되어간대요. 우리 엄마아빠 나이보다 더 오래 이 땅이 갈라져 있었다니 이제는 남과 북이 하나가 됐으면 좋겠어요. 하나님이 이 땅을 원래 하나로 만드셨으니 우리가 잘못한 것을 회개하고 하나의 민족, 하나의 형제자매로 얼싸안고 하나가 되게 해주세요. 그동안 서로에게 잘못한 건 용서하고 하나님이 주시는 평화를 깊이 깨닫게 해주세요. 저희는 어려서 할 수 있는 게 많지 않지만 모두가 행복해지는 사랑과 평화를 위해 기도할게요. 하나님, 한반도에 평화 통일을 속히 이루어주세요. 예수님 이름으로 간절히 기도합니다. 아멘. Prayer for Peace 40 - Yebin Park, Daelim Elementary School Lord, it has been 70 years since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 division is much older than the ages of my parents. I hope now the North and the South become one. God, I ask you to forgive us our sins of dividing this land that you made one. May we become one Korean nation as brothers and sisters! Help us to forgive and reconcile one another to realize the peace you give! I do not have much to do as I am young, but I ask you to provide us love and peace that make everyone happy. Lord, May the day come soon when the North and the South are peacefully united! We pray in Jesus’ name, Amen.
2020-06-30 15:00:08
화해·통일2020 Peace Prayer Movement (Light of Peace) Prayer #39
2020 Peace Prayer Movement (Light of Peace) Prayer #39
* Korean (Above) - English (Below) 6월 5주 한반도 평화를 위한 기도 39 - 히카리 코카이 장 목사, 일본기독교협의회 부회장, 연합감리교회 생명을 주시는 하나님, 당신의 자비로운 은혜에 감사합니다. 어머니가 자녀를 다독이듯이, 당신은 이 땅의 자녀들을 돌보고 사랑하십니다. 전례 없는 팬데믹으로 우리가 두려움에 처한 이 때, 당신께서는 우리를 당신의 자녀로 부르시고 우리가 당신의 날개 그늘 아래에서 위로와 치유를 얻게 하십니다. 하나님은 우리의 피난처이시고, 당신 안에서 우리는 평화와 희망을 함께 발견합니다. 당신의 자녀인 한반도의 자매와 형제들을 위해 기도하며, 당신 앞에 나아갑니다. 겸손한 영으로 우리의 죄를 고백하고 당신의 용서를 구합니다. 우리는 우리의 자매와 형제들을 아프게 함으로써 당신의 마음을 상하게 했습니다. 권력을 향한 탐욕과 이기적인 욕심으로 당신의 자녀들이 헤어지고 나누어진 채 70년을 살게 했습니다. 그들은 지금도 여전히 눈물과 고통 속에 살아가고 있습니다. 우리는 당신의 말씀에 불순종함으로써 당신의 영이 고통을 받게 했습니다. 우리는 당신이 주신 평화의 약속 대신 무력과 정치적 이데올로기를 믿었고, 그 결과, 당신의 자녀들은 두려움과 서로에 대한 불신 속에서 매일을 살아가고 있습니다. 생명을 구원하시는 하나님, 오늘 우리가 용기를 내어 우리가 우리의 죄를 부인하거나 잊지 않고, 당신과 당신의 자녀들에게 행한 죄를 담대히 고백하고 회개하게 하시옵소서. 오늘 우리가 겸손하게 당신의 나라에서 서로 관계를 깨뜨린 죄에 대해 용서를 구하게 하시옵소서. 오늘 우리가 연민하며 상처받고 수치를 당한 사람들, 고통 받고 애통해 하는 사람들, 우리들 가운데 가장 힘없는 사람들의 편에 서게 하시옵소서. 삶을 새롭게 하시는 하나님께 기도하오니, 우리가 당신의 모든 자녀들 가운데 화해와 일치를 이루며 살 수 있도록 지혜를 주시옵소서. 우리가 평화와 정의를 추구하여 당신의 형상으로 창조된 모든 당신의 자녀들이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이 세상에 주어진 소망과 기쁨으로 살아가게 하시옵소서. 의심과 증오로 흐려진 우리의 마음에 평화의 영을 불어 넣어 주시옵소서. 한반도와 세계에 어둠이 걷히고 여명이 이를 때, 우리는 서로에게서 자매와 형제들의 얼굴을 보게 될 것입니다. 아멘. Prayer for Peace 39 - Rev. Hikari Kokai Chang, Vice moderator, the National Christian Council in Japan and United Methodist Church clergy God of giving Life, We give you thanks for your most merciful grace; as a mother comforts her children, you care and love all of your children in the world. In such time as this when the unprecedented pandemic frightens us, you call us as your children into the shadow of your wings for comfort and healing so that we know you are our refuge; in you, we find peace and hope together. As we pray for your children--our sisters and brothers in the Korean peninsula, we come before you in humble spirits to confess our sins and ask your forgiveness. We have broken your heart by hurting our sisters and brothers. Our greed for power and self-serving interests have forced your children to live in separation and division for 70 years, and they are living in tears and pain still today. We have caused pain in your soul by disobeying your words. We gave our faith to armed powers and political ideologies instead of your promise of peace, and as a result, your children are living in fear and distrust of one another every day. God of redeeming life, Today we ask for courage, so that instead of denying or forgetting our sins, we may boldly confess and repent what we have done against you and your children. Today we ask for humility, so that we may seek your forgiveness for the brokenness of our relationships with one another in your Kingdom. Today we ask for compassion, so that we may stand in solidarity with those who have been wounded and disgraced, those who have suffered and mourned, those who are the most powerless among us all. God of renewing life, we pray: Grant us wisdom to live in reconciliation and unity among all your children. Guide us to seek peace and justice, so that all your children created in your image shall live with hope and joy bestowed in the world through Jesus Christ. Breathe your spirit of peace into our hearts clouded by doubts and hatred. When darkness ends and dawn shall arrive in the Korean Peninsula and in the world, we may recognize the faces of sisters and brothers in each other’s. Amen. ---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는 지난 68회 정기총회에서 “평화를 이루기까지 있는 힘을 다할 것”(시 34:14)을 다짐하고, 한국전쟁 발발 70년을 맞는 올해 2020년을 한반도에서 전쟁을 종식하고 평화협정을 실현하는 “희년의 해”로 선포하였습니다.이 희년운동의 일환으로 세계교회협의회 (WCC)와 함께 3월 1일부터 8월 15일까지 “한반도평화를 위한 세계기도운동”을 전개하오니, 이번 주부터 매주 보내드리는 기도문 (혹은 신앙간증문)을 가지고 교회와 가정, 직장과 각 자의 삶의 자리에서 이 기도운동에 적극 참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0-06-30 14:56:57
화해·통일2020 Peace Prayer Movement (Light of Peace) Prayer #38
2020 Peace Prayer Movement (Light of Peace) Prayer #38
* Korean (Above) - English (Below) 6월 5주 한반도 평화를 위한 기도 38 - 아부스 타키스빌라이난 목사, 대만기독장로교회 총회장 하늘에 계신 자비로우신 하나님, 남북한의 하나 됨을 위해 절박하게 기도합니다. 남북한의 지도자들이 과거의 분열과 적대를 위해 회개하는 기도를 드리며, 민간의 교류와 인도적인 협의를 통해 실질적인 평화가 이루어지기를 빕니다. 한국과 전 세계 그리스도인들의 기도를 통해, 새로운 평화의 계기를 보게 하여주시고. 남북 분열 70주년이 되는 이때, 남과 북이 화합을 위해 기도합니다. 수많은 민족과 국가의 그리스도인들이 함께 중보하고 기도하게 하여주소서. 하나님께서 남북한의 정세를 주장하여주시고, 더 많은 그리스도인이 온 땅에서 제단을 쌓아 무너진 성벽을 수축하게 하여주시고, 남북한의 고위 지도자들이 하나님께로 온 지혜로 말미암아 하나님의 뜻에 합한 결의를 하게 하시고, 하나님의 연민이 남북한에 임하여 관계가 회복되게 하소서. 마지막으로 당신의 자녀 모두가, “나를 하나님의 도구로 사용하셔서 평화를 형성하고, 증오가 있는 곳에 사랑을, 분열이 있는 곳에 단결을, 어두운 곳에 빛을 발하게 하여주소서”라고 고백하게 하소서.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거룩하신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아멘! Prayer for Peace 38 - Rev. Abus Takisvilainan, Moderator, The Presbyterian Church in Taiwan Merciful God in heaven, we pray desperately for the two Koreas to become one. We pray that the leaders of the two Koreas repent for their past division and hostility, and hope that substantial peace will be achieved through civilian exchanges and humanitarian consultations. Through the prayers of Christians in Korea and around the world, let us see a new opportunity for peace. On the 70th anniversary of the division and war between the two Koreas, the South and the North are praying for harmony. Let the Christians of many peoples and nations take counsel together. May God lay claim to the situation of the two Koreas, and let more Christians build altars all over the land to shrink the crumbling walls, and let the high-ranking leaders of the two Koreas make a resolution in accordance with God's will with the wisdom that has come from God, so that the compassion of God may be restored to the two Koreas. Finally, let all your children confess, "Use me as a tool of God to make peace; where hatred exists, to sow love; where division exists, to unite; where there is darkness, to shine." We pray in the holy name of our Lord, Jesus Christ. Amen! ---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는 지난 68회 정기총회에서 “평화를 이루기까지 있는 힘을 다할 것”(시 34:14)을 다짐하고, 한국전쟁 발발 70년을 맞는 올해 2020년을 한반도에서 전쟁을 종식하고 평화협정을 실현하는 “희년의 해”로 선포하였습니다.이 희년운동의 일환으로 세계교회협의회 (WCC)와 함께 3월 1일부터 8월 15일까지 “한반도평화를 위한 세계기도운동”을 전개하오니, 이번 주부터 매주 보내드리는 기도문 (혹은 신앙간증문)을 가지고 교회와 가정, 직장과 각 자의 삶의 자리에서 이 기도운동에 적극 참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0-06-30 14:53:21
1 2 3 4 5